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화스포츠 칼럼 - 박인배> 문화예술 財源, 어떻게 마련하나?
지난 4일 헤럴드경제에 ‘세계 10대 오케스트라 모두 한국 공연’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린 바 있다. 이는 우리의 소득수준이 향상돼 클래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고도 볼 수 있고, 한편으로는 그들이 속해 있는 미국과 유럽에서 시장 규모가 줄어드니 아시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내한공연 티켓가격을 보면 대체로 R석의 경우 30만원을 훌쩍 넘는다. 가격이 이렇게 높아진 이유는 무엇일까?

내한공연을 유치한 기획사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그리 큰 이윤을 남기는 것 같지는 않다. 시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고려한 ‘적정가격’으로는 좌석을 모두 팔아도 적자를 면하기 어려운 구조다.

이러한 구조를 개선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외국에서 온 세계 10대 오케스트라’여서 특별히 브랜드 가격이 높은 것이 아니라 오케스트라와 같은 큰 규모의 예술단체를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 그만큼 많은 돈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급 문화예술을 유지하기 위한 부담은 일종의 사회적 비용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미국이나 유럽에서조차도 경제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유서 깊은 오케스트라들이 문을 닫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 이웃 일본도 3000여개의 공공 공연장 중에서 3분의 1 정도가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1980~90년대에 많은 지방 문예회관들이 건립되고 시ㆍ도립예술단체들이 설립되었으나 운영비는 재정사정이 열악한 지방자치단체에 맡겨져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활성화는 엄두도 못 낸다. 간신히 현상유지에 급급한 정도다. 심지어 경상남도와 같이 경영효율성을 이유로 문화예술 관련 출연재단들을 통폐합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국가 문화정책의 측면에서는 사회적 비용으로 문화재정을 확대하겠다는 기조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IMF 이후 김대중 정부의 문화재정은 전체 예산의 1%를 넘어섰으며, 최근 출범한 박근혜 정부에서도 임기 내에 2%를 달성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이는 문화복지 차원과 창조사회에서 문화예술의 중요성 때문으로 보인다.

문화재정의 핵심적인 정책기능은 문화복지 확대와 문화산업 육성에 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정책기능은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새의 양 날개와 같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효과적이다. 또한 문화복지 증진에 의해 창의성이 확대되지 않고서는 창조경제의 기반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문화산업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문화복지의 확대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문화예술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재원은 수요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티켓 파워와 그에 상응하는 기업의 협찬이나 후원자의 기부,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국가재정은 시장에서의 경쟁력보다는 기초영역에 투여하는 간접적인 방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과거와 같이 하드웨어 구축에는 집중 투자하면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운영비용은 고려하지 않는 근시안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