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투자 망설이는 기업 사정부터 헤아려라
새해 들어 두 달이 다 돼가도록 국내 대기업들이 투자를 놓고 우왕좌왕하고 있다. 수만개에 달하는 협력업체들도 덩달아 갈피를 잡지 못한다. 의욕적인 투자계획을 내놓던 예년과는 판이하다. 오히려 투자규모를 축소하는 기업도 있다.

20대 그룹 중 21일 현재 올해 투자 계획을 발표한 곳은 LG SK 포스코 CJ 등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다. 이 중 SK CJ 등은 규모를 줄였다.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삼성전자마저도 고민이 길다. 작년에는 1월 중순에 47조8000억원이라는 사상 최대 투자계획을 발표했었다. 불투명한 경기전망이 가장 큰 요인이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60%가 올해 경제성장률을 작년 수준보다 못한 2% 이하로 본다고 한다. 저성장 흐름이 3년 이상일 것이라는 전망도 대세다. 중소기업 10곳 중 두 곳이 연내 한계에 직면할 것이라는 분석도 우울하다.

기업을 위축시키는 것은 침체된 경기뿐만이 아니다. 조 단위의 투자를 할 만한 신성장 산업이 보이질 않는다. 이명박 정부는 세제혜택 등을 통해 녹색성장 드라이브라도 걸었지만, 새 정부는 중소기업 친화정책을 앞세워 대기업들을 상대적으로 더 고립시킬 자세다. 경제체질 강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을 확대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다. 제조업 중심에서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상호 보완적 가치로 접근할 일이다. 대기업의 담장을 허물어 중소기업 보호막을 치자면 국가경쟁력을 갉아먹자는 것이나 다르지 않다.

가뜩이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은 앞다퉈 통화가치 절하 경쟁을 통해 자국 중심의 경제정책과 보호무역주의 장벽을 높이고 있다. 수출 부진이 심각한데다 가계부채는 1000조원대를 육박하며 숨통을 죄고 있다. 안팎의 도전과 과제가 만만치 않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경제 패러다임을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완전히 바꾸고 또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국정목표로 삼겠다는 각오를 피력했다. 그러나 미래창조과학부 신설만으로 국가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국제경쟁력을 갖춘 대기업들이 견인하고 정부가 이를 뒷받침할 때 경제체질도 선진화할 수 있다. 투자는 일자리 창출과 직결되고 경제회복의 출발점이다. 이럴 때일수록 더 과감하게 투자하도록 독려하자. 오너 경영인들이 결단력과 추진력으로 책임경영에 매진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일보다 더 시급한 과제도 없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