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분 vs 제과…밀가루값 인상 여파의 진실게임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밀가루값 인상을 계기로 제과ㆍ제빵업계가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인 가운데 적정 인상 폭을 놓고 진실게임이 벌어지고 있다.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부ㆍ시민단체는 밀가루 가격이 올라도 빵ㆍ과자가격 인상 요인이 크지 않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반면 업계는 원재료 부담이 느는 게 사실이어서 제품 값을 올리지 않은 채 계속 손해만 볼 순 없다고 항변한다.

15일 한국제분협회 등에 따르면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2010년)’에서 빵, 과자류 생산가격 중 밀가루값이 차지하는 비중은 9.1%, 라면 등 국수류는 16.4%다. CJ제일제당 등 제분업체가 최근 8% 안팎에서 밀가루 값을 올린 걸 감안하면, 이로 인해 과자ㆍ빵 값의 상승요인은 0.7%대라는 계산이 나온다.

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전날 발표한 자료에서도 밀가루 가공식품의 원재료비 비중은 6.9%~28.1%로 평균 12.5% 수준이었다. 이를 값으로 따지면 700원짜리 라면의 경우 6.4원, 식빵은 28원이다.

밀가루 가격이 오를 때마다 제과ㆍ제빵업체들은 원재료값 상승분을 넘는 수준으로 가격을 올렸다고 시민단체 등은 강조한다. 실제로 2011년 4월, 밀가루 가격이 9% 안팎에서 오른 직후에도 해태제과, 농심, 오리온 등 주요 제과업체들은 8~25%까지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또 2008~2010년 국제 곡물가가 안정됐던 시기에는 밀가루 가격이 일부 내렸지만, 과자나 빵류 가격은 인하된 적이 한 번도 없다고도 지적한다.

반면 제과·제빵업계는 “밀가루뿐 아니라 전반적인 물가는 크게 오르고 소비는 부진한 상황에서 원가 상승은 상당한 압박”이라고 반박했다.

제빵업계의 한 관계자는 “밀가루값 상승으로 빵값 인상을 검토 중이며, 2011년 밀가루값이 올랐어도 그동안 빵값을 올리지 않았다”며 “최대한 감내하려고 하고 있는데 쉽지 않다”고 했다.

홍성원 기자/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