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7년 전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 에 담긴 패티김의 애정
47년 전 패티김의 꿈을 김선영이 이어받았다. 한국 최초의 창작 뮤지컬이라 불리며 지난 1966년 초연한 ‘살짜기 옵서예’에서 기생 애랑 역을 맡은 패티김과 내년 2월 공연되는 7번째 ‘살짜기 옵서예’의 애랑 김선영, 두 사람이 함께 만났다.

지난 10일 가진 만남에서 패티김은 40여년 전 기억들을 머릿속에서 하나 둘 꺼내놓기 시작했다. “‘살짜기 옵서예’는 한국 최초의 창작극이기도 하지만 저한테는 뜻이 있던 작품이었어요. 연습할 때 난롯불 켜놓고 물 끓여서 마시며 굉장히 고생했어요.”

말을 꺼내자마자 연습때 너무 추웠던 것이 기억에 남았다고 소회했던 패티김. 처음 그가 뮤지컬을 하게 됐던 건 1963년 미국에 건너가면서부터다. 하지만 그를 맞았던 건 인종차별과 이방인으로서의 설움이었다.


“저도 라스베가스에 가기 전까지 키도 크고 노래도 잘한다고 자신만만해 했었는데 저보다 키가 10㎝는 더 크고 노래도 잘하고 체격도 좋은 사람들이 많아 솔로가수론 굉장히 힘든 시장이라고 깨달았죠.”

오프 브로드웨이의 ‘플라워 드럼 송’에 캐스팅되고 뮤지컬, 솔로가수 등으로 미국에서 활동하던 그가 돌연 한국에서 ‘살짜기 옵서예’를 공연하게 된 건 1966년 2월 부모님이 위독해 잠깐 한국에 들어오면서였다. 매니저에게 두 달 간 허락을 받고 한국을 찾았다.

5년 간 미국에서 활동하기로 계약했지만 한국에 머무는 동안 작곡가 길옥윤을 만나며 그의 인생도 변했다.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의 출연 섭외가 온 것이다. 그는 그때 “‘여기가 내가 서야 할 곳이다’ 란 걸 직감했다.


예그린 악단이 1966년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공연한 ‘살짜기 옵서예’는 7회 공연 만에 1만6000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패티김의 애랑이는 어땠을까. “애랑이를 제가 만들었을 거예요. 성격이 활발하고 자존심이 강하고 이런 건 비슷해요. 애랑이에 제 자신을 비춘 거죠”라고 했다. 교태스러움은 없지만 당당하고 자신있는 여성의 모습을 표현했다는 그다.

그때의 감동이 내년 2월 공연되는 ‘살짜기 옵서예’에 대한 기대로 이어졌다. 그는 “공연이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현대화될까 궁금하기도 하고 기대도 많이 된다”며 김선영에게 격려의 말도 아끼지 않았다.


대선배의 말을 진지하게 경청하고 있던 김선영은 “개인적으로 메릴 스트립과 패티김 선생님을 존경한다”며, “66년 초연할 때 얼마나 열정적이고 아름다웠을까 짐작이 간다. 그걸 좀 닮고 싶다”고 기대에 부풀었다.

‘배비장전’을 소재로 한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는 내년 2월 16일부터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막을 올린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자료제공=CJ E&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