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조선미술의 황금기…붓끝에 어린 묵향에 젖어들다
포스코 미술관 내달 25일까지‘ 겸재부터 혜원까지, 천재화인열전’
조선 ‘초상화의 귀재’ 이명기
산수인물도 등 낯선 작품부터
옅은 먹 절묘한 ‘금강산 비홍교도’
한국적 풍경화의 백미 진경산수까지

겸재·단원 등 29명 작가 44점 선봬


늦더위를 씻어줄 한줄기 소나기 같은 전시가 서울 강남에서 열리고 있다. 그간 현대미술만 선보여온 서울 대치동의 포스코미술관이 모처럼 조선후기 미술전을 마련했다.

‘겸재부터 혜원까지, 천재화인열전’이란 제목으로 오는 9월 25일까지 열리는 전시에는 조선문화사에서 가장 찬란했던 황금기로 꼽히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그림과 글씨가 한데 모였다.

조선 후기는 우리의 산하를 독자적으로 그려낸 진경산수와 섬세한 묘사가 돋보이는 영모화, 신선그림인 도석인물, 문인들의 격조 높은 시서까지 다양면에 걸쳐 높고 고른 수준을 보였던 시기다.

이에 전시는 ‘관(觀) 경(景) 속(俗) 도(道)’ 등 네 파트로 관념산수화, 진경산수화, 풍속화, 문인화를 두루 소개한다. 석봉 한호,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등 우리에게 낯익은 작가는 물론 호생관 최북, 표암 강세황, 화재 변상벽 등 조선후기를 풍미했던 29명 작가의 작품 44점이 내걸린 것.

중국의 산수화와는 달리 한국적 산수, 우리 눈 앞에 펼쳐진 산수를 있는 그대로 묘사하며 ‘진경산수’ 시대를 열어젖힌 겸재 정선의 작품은 금강산을 그린 ‘단발령도(斷髮嶺圖)’와 ‘백악부아암도(白岳負兒岩圖)’가 나왔다. 우리 산천의 골산은 필선으로, 토산은 먹의 번짐으로 표현하며 조선 회화의 어엿함과 긍지를 유감없이 드러낸 그림들이다. 

풍속화로 유명한 단원 김홍도는 산수화에도 능했다. 가을철 깊은 계곡 속 스님을 그린 ‘산사귀승도’. 묵직한 바위와 까슬한 나무가 단원의 화풍을 잘 보여준다.

금강산을 여러 번 답사하고, ‘구룡폭포에 뛰어들어 죽겠다’는 일화를 남겼던 호생관 최북의 금강산 그림도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그토록 금강산을 예찬했으나 그의 금강산 그림은 몇점 전해지지 않는데 ‘혈성루망금강도(歇惺樓望金剛圖)’는 백분을 칠한 바위산과 먹을 많이 쓴 흙산이 겸재의 영향을 짐작케 한다.

겸재와는 반대로 중국의 남종화풍을 계승 발전시켰던 현재 심사정의 산수화 ‘방예운림산수도(倣倪雲林山水圖)’도 놓쳐선 안될 그림이다. 또 겸재의 진한 먹 사용을 탐탁지 않아 했던 표암 강세황은 ‘금강산 비홍교도(金剛山 飛虹橋圖)’에서 바위산을 푸른 색으로 처리하며 역시 남종화풍을 잇고 있다.

도화서 화원으로 남다른 역량을 선보였던 단원 김홍도의 ‘임수간운도(臨水看雲圖)’와 혜원 신윤복의 ‘수조도(樹鳥圖)’도 만날 수 있다. 또 단원과 함께 서직수 초상을 그린 ‘초상화의 귀재’ 이명기의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는 중국식 의복선과 인물 표정이 단원과 연장선상에 있다. 바깥에서부터 짧게 치고 들어가는 나뭇가지 묘사와 산의 흙 주름선에 덧대 입체감을 나타낸 김석신의 ‘고승한담도(高僧閑談圖)’에서도 단원의 화풍이 엿보인다.

이밖에 화재 변상벽의 고양이 및 토끼 그림, 다산 정약용, 석봉 한호, 미수 허목, 추사 김정희 등의 글씨도 음미할 수 있다. 미술관 측은 관람객들이 옛 그림을 좀 더 친근하게 즐길 수 있도록 현대의 미감을 고려해 산뜻하게 설치했다. (02)3457-1655

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