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반면교사’다. 현 정부의 정책 실패는 곧 차기 대권을 노리는 잠룡들에게 기회요인이다. 잘못된 점을 짚어내 이를 정책으로 과감하게 추진ㆍ보완하려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는 요구가 저변에 짙게 깔려 있다. 이번에 대선 관련 이슈를 조사한 결과에서 여실히 드러난 흐름이다.
정권초기, 재계와 허니문 기간을 갖다가도 지지도 하락 등의 조짐이 보이면 기업을 옥죄던 최고 권력층의 패턴은 더 이상 반복돼선 안된다는 소리가 행간에서 감지된다. 요약하면 ‘경제ㆍ비전과 추진력ㆍ시장활력ㆍ상생’이다. 권력 판도를 바꾸려면 이들 키워드를 금과옥조로 새겨야 한다.
▶최대이슈는 경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어라”=‘올 대선의 중심 이슈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경제’라는 답은 절반을 넘는 56.8%(576개사)로, 단연 1위였다.
‘복지’(25.4%)는 뒤를 이었다. 무조건 퍼주기식 복지냐, 생산적 복지냐의 문제는 최근 몇 년간 화두였다. 정부 곳간 운용에 관한 이슈이기에 포괄적 측면에서 기업들은 경제(복지 포함)를 잘 다룰 능력이 있는 후보를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와 ‘통일문제’가 이슈가 될 것이라는 답은 각각 15.7%, 2.1%에 그쳤다.
기업들은 차기정부가 시장경제에 관해 적절한 역할을 해주길 바랐다. 핵심은 정부 지원이다. ‘정부지원을 통한 시장 활력제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67.4%에 달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73.1%(209개), 중소기업은 65.1%(474개)가 이같이 답했다. ‘시장 자율에 일임’은 21.5%, ‘정부 개입에 의한 시장 개혁’은 11.1%에 그쳤다. ‘기업 때리기’나 인위적인 시장 왜곡이 아닌 기업 기살리기에 도움이 될 정책을 원하는 셈이다.
▶리더, 비전제시와 합리적 정책 구사해야= 대통령 후보 자질로는 ‘비전제시 및 추진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28.9%)이 최다였다. ‘국가 원수로서의 도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두번째(17.9%)였다. 역대 어느 정권이나 임기말 터지는 측근ㆍ친인척 비리에 대한 피로도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밖에 ‘경제 분야에 대한 식견과 전문성’(17.4%), ‘국민과 교감하는 소통능력’(17%)’, ‘국제감감과 외교능력’(13.9%), ‘이해집단 간 갈등해결 능력’(2.9%), ‘확고한 안보관과 대북협상 능력’(2.2%)등의 의견도 나왔다.
설문에 응한 기업들은 지지 후보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정책’(61.1%)을 꼽았다. ‘과거 업적 등 개인역량’(31.2%), ‘소속 정당’(5.3%), ‘출신지역 등 연고관계’(2.4%) 보다 ‘정책’이 앞선 이유는 명확해 보인다. 기업은 경영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예측가능하고 일관된 정책을 원한다.
▶키워드는 서민경제ㆍ동반성장ㆍ공정거래=대선과 관련한 기업 정책의 예상 키워드를 묻는 질문엔 서민ㆍ동반성장 등 상생과 관련한 단어가 쏟아져 나왔다. 대기업 성장 중심의 드라이브 보다는 공생과 공감시대로 달려야 한다는 기업인 인식이 작용한 셈이다. 조사 대상에 중소기업이 71.8%로, 대기업(28.2%)보다 많은 것도 이같은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보면 어떤 후보든 상생을 들고 나와 표심을 자극할 것이라는 관측이 가능하다. ‘중소기업ㆍ서민경제 활성화’가 키워드가 될 것이라는 답(28.5%)이 가장 많았던 것은 그에 대한 설득력이 충분해 보인다. 대ㆍ중기 동반성장(19.2%), 물가안정(12.7%), 공정거래 질서 확립(12.4%), 고용창출(7.5%), 규제완화(6.6%) 등은 뒤를 이었다.
hong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