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처럼 고가 그림 등장
워홀·톰블리 등 거장작품
20년새 최고 100배 폭등
박수근 작품도 20년새 10배
富·허영심 과시 우아한 수단
은밀 상속·증여 가능도 한몫
한국 사회를 송두리째 뒤흔드는 대형 비리사건이 터질 때마다 미술품이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고 있다. 과거 금송아지와 달러 뭉치가 감춰졌던 자리에, 요즘은 고가의 그림들이 은밀히 자리하곤 한다.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그림 ‘행복한 눈물’을 비롯해 수천억원대 그림들이 등장했던 지난 2007년 삼성 비자금 사건을 필두로, 한상률 전 국세청장의 그림 로비, 오리온 회장의 비자금 사건, 부산저축은행 사태까지 미술품은 빠짐없이 등장 중이다. 게다가 상상을 초월하는 ‘불법, 탈법의 온상’인 이번 미래저축은행 배후에도 고가 그림들이 ‘나 여기 있소’ 하듯 드러났다.
이처럼 불법 사건에 미술품이 단골로 등장하는 것은 고가의 미술품이 지닌 재화로서의 가치 때문이다. 물가상승률에 턱없이 못 미치는 저금리, 극심한 부동산 침체와는 달리 알짜 그림은 수익성이 만만찮기 때문이다. 현존 작가 중 가장 그림값이 비싼 데미안 허스트(47ㆍ영국)가 “그림은 전 세계에서 통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통화”라고 기염을 토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실제로 앤디 워홀, 게르하르트 리히터, 사이 톰블리, 로이 리히텐슈타인 등 세계적 거장의 작품은 20여년 전에 비해 10~100배 올랐다. 1990년대 초 24만달러(약 2억7000만원)에 불과했던 루이스 부르즈아(작고)의 거미 조각 ‘마망’의 경우 현재 1000억원을 줘도 살 수 없는 게 한 예다.
세계적인 슈퍼리치들이 유명작가 수작을 너도나도 보유하려 하기 때문에 이렇듯 미술품 가격은 수직상승 중이다. 최근 씨티은행이 발표한 ‘2012 부(富)보고서’에 의하면 재산 1억달러 이상의 슈퍼리치는 6만3000여명(아시아 2만1000명, 북미 1만7000명, 유럽 1만7000명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10~20%는 ‘미술품’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며 연 40조원대 시장을 형성 중이다.
게다가 최근 10년 새 카타르 등 중동의 오일부자와 중국 및 러시아 신흥부호들이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투자대상으로 미술품을 점찍고 수집에 열을 올리고 있어 가격 상승이 더 가파르다.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정당화하기 위해, 또 예술적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미술품처럼 ‘딱’ 떨어지는 게 없는 것이다. 국가기관이 앞장서 경매사를 운영 중인 중국에선 고가의 미술품이 ‘가장 우아한 뇌물’(경매낙찰가가 찍힌 보증서를 곁들여)로 각인될 정도다.
국내 미술품경매사 등에선 “박수근 대표작은 1년에 10%, 중국 유명작가 그림은 10년에 10배 상승을 보장한다. 은행금리는 댈 게 아니다”며 작품 구입을 독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미술품은 부동산처럼 등기부등본이 없어 은밀한 상속 및 증여가 가능한 것도 온갖 사건에 그림이 단골로 등장하는 이유다. 전문가가 아니고선 진위 판별, 가격 산정이 어려운 것도 세금 회피를 가능케 하는 요인이다. 내년부터 정부가 6000만원 이상의 작고작가 작품 거래 시 양도세득세를 부과키로 했으나 추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화랑 간판을 내걸긴 했으나 철저히 부자들만 상대하는 프라이빗 딜러로 활약해온 갤러리서미 홍송원 대표처럼, 향후 오를 만한 작품을 족집게처럼 집어내 권유하는 이들이 포진해 있는 것도 ‘미와 향유의 대상’으로 봐야 할 미술품을 ‘투자와 투기의 대상’으로 보게 하는 한 요인이다.
미술과 관련된 비리사건이 터질 때마다 빠짐없이 등장하는 홍 대표는 국내 화랑으론 유일하게 10년째 연 1000억원대(1위)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작가 발굴 및 전시 등의 역할보다는 부자들의 아트 투자에 올인해온 인물이다. 삼성, 신세계, 대상, 오리온 등 부호들과 거래해온 그는 최근 들어 잦은 검찰 소환과 수감, 무리한 해외작품 구입 등으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으며 미래저축은행에 고가 그림들(부동산 포함)을 담보로 285억원을 대출받는 등 코너에 몰리고 있다. 홍 대표가 담보로 잡힌 사이 톰블리의 그림(경매수수료 포함 낙찰가 약 72억원) 등은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이 하나캐피탈에 증자를 유도하며 자기 소유처럼 넘겨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동전의 앞뒷면처럼 감상(美)의 대상이자 투자의 대상이기도 한 그림의 속성은 요즘들어 더욱 추악한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있다.
<이영란 선임기자>
/yr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