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농담(마크 S 블럼버그 지음ㆍ김아림 옮김/알마)=우리는 정상적으로 보이는 전형에서 비정상적인 것을 분리하려 하지만 저자에 따르면 진화의 비밀을 풀어주는 열쇠는 이형ㆍ기형이다. 이형들은 개체와 집단 그리고 신체와 행동 속에 감춰진 발생의 가능성과 그 과정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형은 라틴어로 ‘자연의 농담’이라 불렸다. 이는 이형을 괴물로 인식한 현대의 관점과 다르다. 이 책은 다양한 종류의 발생적 이형이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중요성뿐 아니라 발생적ㆍ진화적 관점 사이에 이들이 갖는 역사적 존재감을 보여준다. 기형적인 모든 종이 어떻게 움직이고 서로 작용하면서 세계에서 살아남게 됐는지 그 비밀은 공존에 있다.
▶편집자로 산다는 것(김학원 외 지음/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인문학 바람은 ‘인문학 연구와 학문’ 바람도 아니고, ‘인문학 책읽기’ 바람도 아닙니다. 인문학 ‘강의’ 바람입니다.” 김학원 휴머니스트 대표의 지적은 출판의 최전선에 서 있는 편집자의 예리함을 보여준다. 정은숙 마음산책 대표 등 한국 출판계에서 주목받는 6인의 출판계 대표 편집자가 저마다 편집론을 이야기했다. 책이 무엇이며, 책이 어떻게 변화해 가고 있고, 그 속에서 편집자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여섯 개의 프리즘을 통해 들여다볼 수 있다. 스스로에게 던지는 물음을 통해 편집자 스스로 길을 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사서(옌롄커 지음ㆍ문현선 옮김/자음과모음)=금서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를 비롯해 ‘딩씨 마을의 꿈’ ‘나와 아버지’ 등의 소설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옌롄커의 최신 장편소설. 이 작품 역시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에 있었던 정부의 지식인 탄압을 다룬 체제비판적 소설로, 2011년 탈고 이후 중국 내 출판이 금지됐던 작품이다. 소설의 배경은 문화대혁명 당시 황하 강변의 황량한 땅에 자리 잡은 강제 노동수용소 99구. 내로라하는 지식인들이 모여 있는 이곳을 관리하는 감독은 사춘기 티를 못 벗은 공산당원 ‘아이’다. 옌롄커는 이 작품 안에 네 권의 책을 액자소설처럼 펼쳐나가며 부정당한 인민의 기억과 기록을 복원해간다.
▶레카토(권여선 지음/창비)=기억에 대한 집요한 탐색을 통해 인간관계의 미세한 균열을 포착해 서늘하게 제시하는 소설가 권여선의 두 번째 장편소설. ‘레카토’는 삼십여년 전, ‘카타콤’이라 불리던 반지하 서클룸에서 청춘의 한시절을 보낸 인물들을 둘러싼 이야기다. 이젠 중년의 유명 정치인이 된 당시 서클 회장, 철없던 신입생들은 출판사 사장, 교수, 국회의원 보좌관 등 각각의 삶을 산다. 그들은 영문도 모르게 실종된 동기 오정연에 대한 기억을 공유하고 있는데 정연의 동생이 언니의 흔적을 수소문하면서 이들은 다시 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