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F학점’ 인생 산 750만명…‘F세대’를 아시나요?
우리나라의 현재 연령별 인구를 유아에서 고령자 순으로 옆으로 누이면 오른쪽부터 크게 네 개의 봉우리가 등장한다. 첫 번째 등장하는 봉우리가 바로 ‘베이비붐’ 세대다. 1953년 한국전쟁의 종전과 함께 55년부터 63년까지 출산율이 급격히 높아진 시기로, 현재 전체인구의 15% 가까이를 차지하는 넓고 높은 봉우리다.

하지만 ‘베이비부머’에 뒤이어 곧바로 ‘더 높은 봉우리’가 자리잡고 있다. 66년생부터 74년생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최근 사회변동의 중심에 선 F세대(66~74년생 최다 인구층)다. 세 번째 봉우리는 79~85년 태어난 베이비부머의 자제로 ‘에코세대’이고, 넷째 봉우리는 F세대의 자녀로 외동이 많아 봉우리는 완만하다.

지난해 통계청이 내놓은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F세대의 총인구는 748만명으로 베이비붐 세대(695만명)보다 50만명 이상 많다. 태어날 때 두 세대의 숫자는 엇비슷했지만 40세 전후의 F세대는 10여%, 50줄에 접어든 부머는 20여% 사망했다.


학문적으로 ‘베이비붐’이란 아이 셋 이상을 낳는 시대가 상당기간 지속되는 때를 뜻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55년부터 74년까지의 20년이다. 다산(多産)시대의 긴 여정은 공유하지만 부머와 F세대의 성장배경과 여정은 사뭇 다르다.

우리의 출생 통계가 70년 제대로 된 틀을 갖췄기 때문에 F세대가 왜 많이 태어났는지에 대해 명확한 근거는 없다. 다만 당시 경제적 변화가 F세대 다출생의 한 가지 원인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김용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은 이들을 ‘제2차 베이비붐 세대(68~74년생)’라고 규정하면서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빈곤의 늪에서 빠르게 벗어나면서 출생아 수가 매년 80만명을 넘은 시기”라고 설명한다.

베이비붐 세대의 다출생이 종전에 대한 ‘정치사회적’ 안심감에 기반을 하고 있다면, F세대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앞으로 삶이 더 나아질 것’이라는 경제적 안심감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의미다. 62년 등장한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70년의 새마을운동으로 대변되는 대한민국 산업화의 태동기에 기대감을 안고 태어난 아이, 즉 보릿고개를 넘고 희망의 젖병을 물고 자란 세대인 것이다. 허리띠를 졸라맨 근대, 민주주의를 정착한 현대의 경계인이다.

F세대는 베이비부머와 함께 현재 우리사회를 구성하는 기둥이다. 양 세대와 그 사이에 낀 64~65년생을 합하면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넘는 1600만명의 거대 집단이 된다. 두 개의 봉우리, 즉 ‘쌍봉세대’로 통칭되는 이들은 전국 토지의 42%, 건물의 58%, 주식의 20%를 보유한 한국경제의 주도세력이다. F세대가 10세 전후이던 70년 284달러에 불과하던 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해 2만591달러로 70배 이상 높아졌고, 120위권이던 국민소득 순위는 34위까지 높아졌다. 한국은 세계 무역규모 8위의 경제대국이 됐다. F세대의 중심인 1970년생은 단일 연령 가운데 최다인 90만명이 생존해 있다.

하지만 F세대의 80% 이상은 집 없이 전세ㆍ월세ㆍ사글세 생활을 하고 있고, 그러면서도 자녀를 위해 월평균 25만원 정도의 사교육비(초등학생 24만5000원, 중학생 25만5000원)를 쓰고 있다. 맞벌이가 당위로 다가온 첫 세대이기도 하다.

F세대의 가장 큰 난관은 ‘노년’이다.

통계청의 ‘2010년 생명표’에 따르면 이들에겐 평균 38.24~45.82년의 인생이 남아 있다.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하는 2030년은 공교롭게도 대한민국의 인구가 5216만명으로 정점을 찍는 해다. 현재 73% 수준인 생산가능 인구는 60% 선으로 줄어들고, 대한민국이 스위스ㆍ이탈리아 등과 함께 마이너스 경제성장에 접어들기 시작하는 해(유엔 분석)이기도 하다.

지난해 통계개발원은 ‘베이비붐세대의 현황ㆍ은퇴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베이비부머와 제2차 베이비부머, 에코세대의 세 인구집단이 65세에 이르는 시점인 2020, 2030, 2044년 노인부양비는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과 이들 후세대에 대한 대책을 늦출 수 없는 이유다.

나아가 F세대의 과거ㆍ현재ㆍ미래를 통해 우리사회 목표, 정치체제, 국정마인드, 민주주의 방식 등 총체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