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재정위기와 경기둔화에 따른 미국의 구매력 감소, 양국 제조업의 대외생산 비중 증가, 우리 제품의 가격경쟁력 약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세계 최대 시장과의 무역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우려되지만 무역다변화 측면에서 보면 긍정적이다. 한국 경제가 미국의 경기흐름에 덜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일 한국은행과 관세청의 수출입 통계(통관기준)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 우리나라 무역의 대미 의존도는 9.3%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무역의존도는 우리나라 전체 무역액(수출액+수입액)에서 대미 교역액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올 1~10월 우리나라의 총 무역액은 8976억1000만달러이며 이 중 대미 무역액은 834억9000만달러다.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연도별로 보면 1990년에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의존도는 27.7%였다가 1995년 21.0%, 2000년 20.1%, 2005년 13.2% 등 꾸준히 줄어 20년 만에 3분의 1로 축소됐다.
대미 수출액은 전체 수출액의 10.0%, 대미 수입액은 전체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1990년에 대미 수출의존도가 31%, 수입의존도가 25%인 점을 고려하면 수출이 수입보다 더 큰 폭으로 줄어든 셈이다.
시간이 갈수록 대미 무역의존도는 낮아졌으나 중국 등 신흥국 비중은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1년 2.9%에서 올해 20.4%로 20년간 10배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인도는 0.5%에서 1.9%로 늘어났다.
1990년에 우리나라 무역의 23.1%를 차지했던 대일 무역의존도는 10.0%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 등 신흥국으로 공장을 이전해 수출 통계에서 제외됐다”며 “그동안 무역다변화를 꾸준히 해왔고 글로벌 재정위기로 미국 내 수요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민간 전문가들은 특정국가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낮아지는 것은 나쁘지 않은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LG경제연구원 김형주 연구위원은 “미국 경제가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비중이 그만큼 커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특정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돌발변수가 생길 때 타격이 클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면 한ㆍ미 간 무역규모가 다소 커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김형주 연구위원은 “FTA는 최종재(완제품) 가격을 낮추기 때문에 시장점유율을 조금 높일 수 있다”며 “다만 중국, 인도 등에 대한 무역만큼 빠르게 늘긴 어려워 비중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신창훈 기자/chuns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