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인민민주주의·혼합경제…우리가 몰랐던 북한의 어제
“북한의 역사는 옆으로 누인 깔때기 같다.” ‘북한의 역사’(역사비평사)의 공저자인 김성보 연세대 교수에 따르면 북한 체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일적 권력구조로 수렴돼 왔다. 이는 곧 역사의 흐름을 되돌려보면 북한에도 다양성과 역동성을 품은 시기가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흔히 알고 있듯 북한은 김일성을 위시한 세력만으로 건국된 국가는 아니었다.

초기의 북한은 반제국 반봉건 노선의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통일전선을 형성한 ‘인민민주주의’ 성격이 강했다. 조만식을 필두로 한 조선민주당과 조선공산당의 우당인 신민당, 청우당 등은 이러한 정치적 다양성을 뒷받침했다.

또 하나 인민민주주의의 특징은 혼합경제였다. 1946년에 발표된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20개조 정강’에서 드러나듯 북한은 토지개혁과 국유화를 추진하면서도 소농경리 등 다양한 소유구조를 인정하고 상업을 장려하는 혼합경제 색채를 띠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북한의 다양성과 역동성은 채 15년을 지속하지 못했다. 신탁문제로 조만식 계열이 이탈하며 정치지형은 협소해졌고 한국전쟁 발발로 북한은 경직화로 치닫게 된다. 김일성을 축출하려 한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을 정점으로 비판세력은 원심력에 의해 튕겨져 나갔고 김일성의 구심력은 더욱 강해졌다. 이에 북한 체제는 주체사상과 개인숭배로 얼룩진 김일성ㆍ김정일의 유일체제로 굳어지고 만 것이다.

이에 저자는 마비 상태에 이른 북한이 퇴화된 인민민주주의의 경험을 되살려야 한다고 진단한다. 오늘날 중국과 베트남이 변화를 모색하듯 다양성과 창의력을 불어넣어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단 것이다.

이밖에도 ‘김일성 가짜론’이나 김일성의 ‘독자적 항일무장투쟁설’ 모두를 조작된 신화로 반박하는 등 실증에 입각한 균형 감각이 돋보인다.

김기훈 기자/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