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극에서 ‘괴물’까지 “3D에 영화의 미래를 묻다”
300억원 제작비의 3D 무협영화 ‘용문비갑’을 제작 중인 중국의 거장 쉬커(徐克) 감독은 제 16회 부산국제영화제를 방문해 “3D는 영화의 주류이자 미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7000만원짜리 저예산 3D 영화 ‘물고기’로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비전 섹션에 초청된 신인감독 박홍민은 “3D는 사실감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간감을 비현실적으로 왜곡시킨다”며 “3D를 구도나 심도 같은 영화적 기호의 하나로 활용했다”고 밝혔다.

10일로 개막 중반을 향해 가고 있는 제 16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3D입체영화가 주목할만한 이슈로 떠올랐다. 올해 부산에 초청된 308편중 3D 장편영화는 모두 8편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인 ‘삼총사3D’를 비롯해 폴란드의 대작 전쟁영화 ‘1920년 바르샤바 전투’, 중국 최초의 3D 애니메이션 ‘무림토끼’, 일본의 사무라이 영화 ‘할복’, 독일 거장 빔 벤더스의 3D다큐멘터리 ‘피나’ 등 장르와 국적이 다양하다. 한국영화에선 최초의 시도가 잇따랐다. 1300만명 관객동원 기록을 세웠던 ‘괴물’은 3D의 날개를 달고 부활했다. 미국에선 17년전 애니메이션인 ‘라이언 킹’이 전무후무한 흥행기록을 세운 가운데, 한국에서도 발빠르게 ‘라이브러리 타이틀’(기존 개봉작)의 3D전환이 이뤄진 것이다. 또 한국영화로는 최초의 저예산 3D장편영화 ‘물고기’와 ‘감’도 초청됐다. 


부산에서 선을 보인 작품들은 이제 3D영화가 규모나 장르, 국적을 초월해 세계영화계에서 일상화, 대중화, 보편화 경향에 있다는 것을 뚜렷하게 감지시켰다.

한국영화로는 ‘괴물3D’가 킬러콘텐츠의 파괴력에 3D의 엔진을 더한 위용을 보여줬다. 원작에 비해 깊이감과 공간감이 돋보였고 생동감과 역동성이 배가돼 국내외에서 새롭게 주목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저예산 독립영화에 3D기술이 적용된 것도 놀랄만하다. ‘물고기’는 실종된 아내를 추적해가는 한 중년남자의 이야기를 미스터리 형식으로 풀어간 작품으로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를 넘나들며 의식의 혼돈과 분열을 보여준다. 박홍민 감독에 따르면 이 영화는 보통 두 대의 카메라로 찍는 3D촬영 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바디안에 두 개의 렌즈가 들어간 (저가의) 일체형 3D카메라로 찍었다. 저렴하고 성능좋은 장비의 출현에 힘입어 상업영화 뿐 아니라 저예산이나 예술영화에서 3D가 새로운 미학적 표현의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다.

부산=이형석 기자/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