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MB 공생발전 발언에 재계 “더 어쩌라고”
이명박 대통령이 8ㆍ15 경축사를 통해 내놓은 후반 국정코드인 ‘공생 발전’을 놓고 재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 대통령이 제시한 공생 발전은 기존 동반성장이나 주변과의 소통과는 한 차원 높은 재계의 대승적 협력을 요구하는 것이어서,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한 원점 검토가 필요해 졌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의 복지 포퓰리즘에 대한 경계는 환영을 하면서도 공생 발전안에 대해선 재계의 또다른 희생과 양보를 전제로 하지 않겠느냐는 의구심을 가지면서 바짝 긴장하고 있는 분위기도 읽힌다.

전경련과 대한상의 등 재계 단체는 이 대통령의 공생 발전 발언에 대해 일제히 “공감하며 적극 동참하겠다”는 논평을 냈다. 대기업들 역시 “공생 발전에 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속내는 다르다. 정부가 임기 후반기에도 동반성장이나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규제, 중기적합 업종 추진 이상의 대기업 희생을 여전히 강요할 것이라는 의심의 눈초리가 강하다. 특히 이 대통령이 “탐욕경영은 더이상 안된다”며 센 발언을 한 것은 향후 정부 주문의 강도를 예상케 한다는 점에서 “무조건 받아줘선 안된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일부 대기업에서는 “지금까지 정부 정책에 최선을 다해 화답을 했는데, 앞으로 어떤 것을 더 내놔야 한다는 지 모르겠다”는 말도 흘러 나온다.

삼성 관계자는 “기존 동반성장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더 신경을 쓸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이 앞서 MRO 사업 포기를 선언한 것이나 조만간 50개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기업 육성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진 것은 이같은 분위기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다만 삼성 일각에선 “(정부가)앞으로도 또 다른 것을 요구하면 힘들어지고, 화답 수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현대차그룹 역시 좀더 촘촘한 공생의 그물을 짜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 대통령의 공생 발전 화두는 기존 협력사와의 상생, 주변과의 상생에 좀더 주력해 달라는 뜻으로 알고 있다”며 “추가적인 공생 방안에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와 SK 역시 비슷한 입장이다.

업계에선 이 대통령의 발언 이후 기업의 공익재단 설립 발표와 추가적인 상생 대책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기업도 반복되는 정부정책 화답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만큼, 당분간은 기업들간 눈치보기가 극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상 기자 @yscafezz>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