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와 당 대표 경선에서 연패한 한나라당 친이계의 행보가 관심이다.
친이계 의원들 사이에서 “친이계는 몰락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그동안 비주류였던 친박계가 해왔던 것처럼 당무나 정책에 있어 적극적 견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친이계 모임인 ‘민생토론방’도 민생 현안을 중심으로 한 정책활동으로 시선을 돌릴 방침이다. ‘무책임한 포퓰리즘 견제’를 내세워 현 지도부의 정책기조 전환에 제동을 걸 수도 있다. 이들은 원내 지도부의 좌클릭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낸 적이 있다.
여기에 친이계 좌장인 이재오 특임장관의 당 복귀가 이뤄지면 흩어졌던 친이계가 구심점을 찾으며 다시 결속할 수도 있다. 이 장관의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당 내 쇄신바람을 주도해 온 ‘새로운 한나라’도 고민 중이다.
지도부와 가교역할을 할지 아니면 외연을 확대해야 할지를 놓고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새로운 한나라’는 지난 5월 초 원내대표-정책위의장 경선 직후 당의 환골탈태를 위해 노선과 정책기조의 대전환을 요구하며 결성됐다.
당내 초선모임 ‘민본21’과 재선급 소장파 모임 ‘통합과 실용’, 친박(친박근혜) 소장파 등이 동참해 ‘소장파+친박’ 연대로서 당시 주류였던 친이(친이명박)계의 대항세력으로 자리매김됐다.
‘새로운 한나라’는 출범 당시 제3의 정파 또는 세력집단화가 아니냐는 의구심을 떨치기 위해 활동시한을 7ㆍ4 전대까지로 정한 바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새로운 한나라’ 내부에서는 외연을 확대ㆍ개편할 것이냐, 아니면 각자도생으로 복귀할 것이냐를 놓고 의견이 다소 엇갈리고 있다.
‘새로운 한나라’는 오는 12일 남 최고위원 주재로 오찬 모임을 갖고 향후 역할정립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한나라당은 비주류 지도부 체제에서 친이ㆍ친박ㆍ쇄신파가 상호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될 조짐이다.
조동석 기자/dsch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