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시국’ 한나라 6~7월 조기전대 초읽기
한나라당 내 9월 조기전대론은 4ㆍ27 재보궐선거 이전부터 팽배했지만, 재보선 참패 이후 시기가 6~7월로 다시 크게 앞당겨졌다. 조기전대의 공감대는 이미 형성됐지만, 누구를 지도부를 앉혀야 하는가는 여전히 갑론을박이다. 내년 총선 공천과 차기 대권후보 선출을 둘러싼 당내 주도권 다툼은 치열한 권력투쟁은 물론, 조기 레임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뜨거운 감자’는 박근혜 전 대표다. 친박계는 물론 수도권 상당수 의원들이 박근혜 전 대표의 역할론을 주문하고 있다. 대권 대항마인 손학규 민주당 대표의 급부상과 함께 ‘선거의 여왕’이 당권을 틀어쥐지 않고서는 내년 총선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나온 주문이다.
그러나 현 정부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려는 박 전 대표 측이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는 현행 당규에 손을 댈 가능성은 낮다. 특사자격으로 유럽을 순방 중인 박 전 대표를 수행한 이정현 의원은 “박 전 대표가 대표 시절 현재의 당헌ㆍ당규를 만들었는데 스스로 규정을 고치는 것은 정도가 아니다”고 못박았다.
다만 대권 대항마인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재보선을 계기로 전국적인 인지도를 크게 높인 만큼 박 전 대표가 ‘무관의 대표’를 자임하며 당 갈등 수습과 총선 채비에 주도적 역할을 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결국 이번 전당대회에서 맞이할 새로운 당 지도부에 대한 공방은 크게 둘 정도로 압축이 가능해진다.
박근혜 대표를 후방 지원할 관리형 대표가 등장하거나, 소장파 의원들이 요구하는 쇄신형 대표가 들어서는 방안이다. 관리형으로는 김무성 원내대표, 홍준표ㆍ홍사덕 의원이 물망에 오른다. 남경필, 원희룡, 나경원 의원 등은 세대교체 멤버로 직간접 거론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소장파를 중심으로 기존의 ‘올드맨’들로는 내년 총선, 대선 승리가 어렵다는 젊은 대표론이 나오고 있으며 또 다른 진영에서는 총선까지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관록의 인사들이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동안 당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왔던 친이 주류 인사들의 위상 변화와 정몽준 전 대표가 주장하고 있는 대권주자의 당운영 참여 등도 박근혜 대세론과 맞물려 이번 전당대회에서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 사안이다.
심형준 기자/cerju@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