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정국의 핵심이슈가 될 ’야권연대’의 명암이 4.27 재보궐 선거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야권연대의 성과에 대해 야권내부에서는 “절반의 승리”라는 평가가 나왔다. 김해을에서는 야권 연대 후보가 패배했으나 민주당이 무공천을 결정했던 순천에서는 야권 연대 후보가 승리했기 때문이다.
문제가 된 지역은 김해을이다. 민주당이 지방선거와 18대 총선에서 승리했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생가가 있는 김해을에서도 패배하면서, 후보만 단일화된다고 무조건 필승카드가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 야권으로서는 뼈아프다.
특히 김해을의 경우 경선 방식을 두고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이 대립한 것이 패배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라는 평가다. 후보 단일화를 두고 민주당과 국민참여당 사이 상대를 비방하는 이전투구 양상으로까지 번지면서 유권자들이 오히려 떠나게 만드는 결과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이로서 민주당 일각에서 제기돼 왔던 야권 연대 회의론도 더 확산될 수 있다. 국회의원 3석과 광역지사 1석이 걸린 재보궐 선거에서도 야권여대 협상이 쉽지 않은데, 299석의 공천을 논의해야 하는 총선에서는 협상이 불가능에 가까울 것이라는 고민이다.
물론 한계도 있지만 지난 6.2 지방선거에 이어 제대로 야권 연대가 성사될 경우의 파괴력은 다시 한번 확인된 것으로 보인다.
순천의 경우 야권연대 후보로 나온 김선동 민주노동당 후보가 예상을 깨고 10%이상의 격차를 벌리며 여유있게 승리했다. 지역을 다져왔던 민주당 소속 후보들이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가운데 이룬 성과다. 이는 야권 연대만 이루어져도 20~30%대의 고정 지지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배상만 리서치앤리서치 여론조사 본부장은 “순천에서도 기라성 같은 후보들이 난립하는 가운데 민주노동당 사무총장까지 맡았던 후보가 당선 된 것은 한국 정치사에서 한 획을 긋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당이 승리한 분당을과 강원 지사 선거에서 1, 2위 후보의 득표율 차이가 5% 내외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야권연대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야권연대에 실패해 후보가 갈렸을 경우, 야권 후보들이 전패를 당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상화 기자 @sanghwa9989> sh9989@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