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스코 ‘성장 동력’ 날개 달았다
포스코가 포항 신제강공장 건설을 재개하면서 매출 200조원 돌파 목표의 ‘비전2020’을 향한 ‘성장 동력’에 날개를 달았다. 1년5개월 동안 막혀 있던 신제강공장 건설 현안이 뚫림에 따라 포스코는 고급강 수요 확충과 생산 능력 확대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게 됐다.

특히 포스코는 신제강공장 건설과 가동을 계기로 향후 파이넥스 공장, 선제 공장 등에 총 2조4000억원을 추가 투자키로하면서 글로벌 철강업체로의 힘찬 발걸음을 내딛었다.

▶향후 2조4000억원 투입, 글로벌 리더로=신제강공장 가동은 포스코로선 포트폴리오의 균형점을 찾았다는 의미가 있다. 제선-제강-연주-압연으로 이어지는 일관제철 생산 공정을 원활화함으로써 공정 전후방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됐다.

이에따라 포스코는 향후 후속 투자사업에 탄력을 붙인다는 입장이다. 포스코는 신제강공장 건설 이후 프로젝트인 파이넥스 3공장과 4선제 공장을 신규로 짓고 신제강공장과 합쳐 총 2조4000억원을 투입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 관계자는 19일 “신제강공장이 준공돼야만 향후 투자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는데, 앞으로 신규투자가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는 지역경제 활력과 함께 정부의 정책중 하나인 기업 투자 활성화에도 일정부분 기여하는 측면도 크다는 게 포스코의 설명이다.

신제강공장 가동은 무엇보다도 고급강 수요 확충과 생산 능력 향상으로 연결된다. 우선 180만톤의 고급강 증산 효과가 나타나 연간 포스코의 신제강 생산규모는 총 465만톤으로 늘어난다. 또 글로벌 수준의 고급강 생산 규모를 갖춤에 따라 원가 경쟁력 확보도 가능해졌다는 평가다. 이에 고급강에서 중국의 거센 추격을 뿌리치고 일본을 따라잡겠다는 중장기 프로젝트도 성과가 예상된다.

특히 자동차 강판과 백색가전에 주로 쓰이는 고급강 부문에서의 매출이 크게 신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포스코는 고급강 생산량의 60~70%는 국내에 공급하며, 30~40% 정도는 해외로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번 신제강공장 가동으로 국내는 120만톤 정도, 해외는 60만톤 정도 공급량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 다른 관계자는 “최근 비전2020을 발표하면서 동남아시장 개척을 주요 화두로 띄웠는데, 고급강 생산 능력 확대는 이를 달성하는 데 크게 도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자리 창출 50만명 효과도=신제강공장 건설과 향후 투자 계획으로 지역일자리 창출 효과는 5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포항 지역에서는 상가, 식당 등이 살아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결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일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모처럼 특별한 새해 선물을 받았다”고 환영하는 분위기다. 실제 신제강공장에는 매일 1200여명정도 인력이 투입됐으나, 공사 지연으로 이들은 일자리를 잃었지만 다시 건설 현장에서 활력을 찾게 됐다.

포스코는 국방부와의 조정결과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이달 중 양 당사자간 협약서를 체결할 예정이다. 이어 공사가 재개돼 2월말부터 신제강공장은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포스코는 전날 정부의 신제강공장 건설 재개 허용과 관련해 “행정협의조정위원회의 결정을 환영하며 대승적인 차원에서 적극 협조해주신 군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며 “조속히 후속공사를 마무리해 최고 품질의 철강재를 생산, 공급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상 기자 @yscafezz>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