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건강보험 10년, 국민연금 35년내 고갈”…세금성 보험료 더 올라가나
[헤럴드경제=이슈섹션] 10년 뒤에는 돈이 없어 병원에 못가게 될 전망이다. 건강보험이 고갈돼서다. 국민연금도 30년 뒤에는 제 기능을 못하게 된다.

정부는 4일 발표한 ‘2060년 장기재정전망’에서 건강보험 재정이 10년 안에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추산했다.

건강보험 재정은 내년을 정점으로 꺾여 2022년부터 적자를 보게 되고, 2025년 고갈 사태를 맞는다.



국민연금의 흑자 규모는 2019년 최고치를 찍고서 점차 하락해 2044년부터 적자로 돌아선다. 2060년에는 고갈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학연금은 2027년부터 적자로 전환하고 2042년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추정됐다. 그나마 사학연금 부담률을 공무원연금에 맞춰 현행 7%에서 9%로 높이는 사학연금법 개정안이 지난 3일 국회를 통과하면서 적자 전환 시점이 6년, 기금 고갈 시점은 10년 연장됐다.

적자를 재정에서 보전해 주는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적자는 2060년까지 쭉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공무원연금의 적자보전 규모는 2016년 국내총생산(GDP)의 0.05%에서 2060년 0.14%로 증가한다.

정부는 사회보험 개혁을 하지 않는다면 국민의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보험 혜택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 추산 결과 사회보험 기금 고갈을 보험료 인상으로 대응하면 2060년 국민부담률은 28.4%에서 39.8%로 11.4%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급여를 축소하면 2060년에는 가입자가 받는 혜택이 현행 급여 체계를 유지할 때와 비교해 46% 수준으로 쪼그라든다.

노형욱 기재부 재정관리관은 “현행 부담·급여 구조에서는 기금 고갈이 예상되는 등 사회보험 유지가 곤란하다”며 “중장기 지속성이 유지되도록 개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