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쓰레기 넘쳐나는 뭄바이, 아시아 최대 쓰레기 매립지 데오나르는 포화상태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인구 1840만명의 인도 뭄바이가 넘쳐나는 쓰레기 속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쓰레기 매립지 데오나르는 포화상태에 이르러 쓰레기 처리 문제가 시급한 상황이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곳이 쓰레기 매립지가 된 것은 1927년부터다. 매일 500대의 쓰레기차가 줄을 서며 매립을 기다리고 있고 쓰레기는 백악관 높이의 2배만큼 쌓였다.

아미타 비데 뭄바이 타타사회과학연구소 도시정책ㆍ행정센터 소장은 “대안이 없어서 계속 쏟아붓고 있다”며 “매립지때문에 지쳐가고 있다. 매립문제는 위기수준에 이르렀고 곧 폭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뭄바이에선 매일 1만1000톤의 쓰레기가 나온다. 절반이 데오나르로 가고 나머지 절반이 다른 매립지로 간다.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 때문에 3번째 매립지는 운영을 하지 않고 있다. 4번째 매립지 선정은 진행중이다.

시 외곽에 신규 매립지 부지를 매입하는데 내년 223억루피(약 4012억원)를 투입할 예정이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단순히 신규 매립지만 만드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블룸버그는 뭄바이의 문제는 분리수거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이라면서 뭄바이보다 더 쓰레기가 많이 나오는 카이로를 예로 들기도 했다. 카이로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쓰레기 수거요원을 운용하며 분리수거를 함께 하고 있다. 또한 도시 내부에 위치한 쓰레기 소각장은 대기오염문제를 낳고 있다.

쓰레기장이 되어가는 뭄바이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추진하는 갠지스강 수질개선 사업 등 인프라 시설 구축을 통한 환경개선 정책에 오명을 씌우고 있다.

인도 싱크탱크인 ‘게이트웨이 하우스: 인도 국제관계위원회’의 만지트 키팔라니 소장은 “매립장은 모디총리의 ‘깨끗한 인도’ 캠페인에 불명예를 씌우고 있다”며 “계획과 현실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