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믿었던 중국마저….’

‘버냉키 쇼크’에 이어 중국의 신용경색 우려가 지구촌을 뒤흔들고 있다. 글로벌 시장의 관심은 이제 미국의 양적 완화 축소가 아닌, 중국의 유동성 축소로 인한 중국발 위기로 쏠리고 있다. 막강 면역력을 자랑하던 중국이 자금경색 위기에 몰리면서 그동안 글로벌 증시를 떠받쳤던 유동성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중국의 최근 통화증가율(M2)은 15%를 넘는 수준이다. 결코, 시중 유동성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시중에 풀린 돈이 건전한 실물경제로 가지 않고 부동산 투기 등으로 향하면서 자산 거품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

▶큰 위기 선제적 관리=중국 유동성 위기 원인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중국 중앙은행인 런민(人民)은행이 은행 간 시장 유동성에 절대적인 통제력을 갖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번 ‘돈가뭄’은 런민은행의 ‘의도적인 방임’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 당국은 이번 유동성 축소는 과도한 대출과 ‘그림자 금융’을 위한 것이라며, 공개적으로 배경을 밝혔다. 런민은행 역시 자금을 풀지 않겠다며 유동성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이를 두고 중국 당국이 더 큰 메가톤급 위기를 막기 위해 마음을 단단히 먹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의 이코노미스트 스테판 그린은 “중국의 새 지도부가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단기적인 고통을 감수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그림자 금융’과 급증하는 대출을 바로잡기 위해 유동성 축소를 고의로 방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최근 중국의 국책은행인 궈자카이파(國家開發)은행이 200억위안(약 3조6000억원)의 채권 발행을 아무런 설명 없이 취소한 점도 상기시켰다.

▶구조적 문제=일각에서는 허술한 중국 금융 시스템의 산물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5일자 사설을 통해 단기 금리가 계속 상승할 경우 장부상 기재되지 않은 고수익 자산 운용상품에 의존해오던 은행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대출 증가율이 20%가 넘는 것은 고수익 자산 운용상품 때문인데, 이는 중국 당국이 금리를 억누르면서 투자자와 은행의 필요에 의해 생긴 것이라고 FT는 설명했다. 미상환 대출 총액은 지난 5년 전만 해도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120%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180%가 넘는다.

여기에다 지방정부가 앞다퉈 개발에 매진하면서 개발비용을 조달하고자 늘어난 부채도 원흉으로 지목됐다.

지방정부들이 성장의 내실을 다지기보다는 GDP 증가율만 끌어올리는 데 신경 쓰다 보니 무리해서 개발에 나서며 부채가 불어났다는 것이다.

스위스 투자은행 UBS의 경제고문 조지 마그누스는 “지방정부들이 재정이 불안해지는 상황에서 만기 채권 상환, 유동자산 보충 등을 위해 또다시 빚을 내다보니 재정 건전성이 더욱 악화했다”고 말했다.

노무라증권은 “감독 당국의 규제가 미치지 않는 ‘그림자 금융’까지 포함하면 중국의 부채비율은 200%가 넘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 회복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지방 부채가 중국 경제 전반에 위기를 몰고 올 가능성이 우려된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취지는 좋으나 경제 더 악화=이런 상황에서 유동성 축소를 방치할 경우 중국 경제를 더욱 사지로 몰아넣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미즈호증권의 선젠광 이코노미스트는 “의도는 좋았다. 하지만 중국 경제가 이미 열이 식었는데 자금경색이 심화될 경우 성장에 더 심각한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우려했다.

또 이번 돈가뭄은 언젠가는 해소되겠지만 상당히 오랫동안 상처가 치유되지 않아 실물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전망됐다. 즉 자본 시장 패닉에도 중앙은행이 위기 해소에 나서지 않으면서 상업은행들이 자기 방어를 위해 유동성을 비축하려 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은행 간 시장에서 자금 이용효율이 낮아지고 금리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 영향은 결국 실물경제로 전이되면서 중국 경제 성장은 압박이 고조될 수밖에 없다. 중국 언론들은 돈가뭄이 이미 실물경제로 번지기 시작했다며, 일부 상업은행이 어음 발행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한희라 기자/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