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속보]文 “安과 계급장떼고 1대 1 TV토론 용의”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가 30일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와의 1대 1 TV토론과 관련 “얼마든지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 영등포 하자센터에서 열린 ‘정치쇄신 대담’에서 문 후보는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던진 “대통령 후보 뽑는다는 게 장난이 아니다. (안 후보와) 계급장 떼고 공개적으로 TV에서 생방송 토론할 생각이 있으신가”라는 질문에 “선거법상 두 사람이 어려우면 세 후보간 토론도 좋고 어떤 형태의 토론도 저는 환영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문 후보는 특히 “TV토론 뿐만 아니고 다른 형태의 토론이라도 열린 공간에서 함께 논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그것을 통해서 국민들께 판단할 하나의 자료 드리는 것이 꼭 필요하다”면서 “어떤 면에서 정치하는 사람이 국민에 대한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방적으로 발표하는 것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그것을 놓고 함께 국민들 지켜보는 앞에서 토론하는 것 필요하고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단일화와 관련해서도 문 후보는 “어느 시기에 이뤄야 하고 어느시기부터 시작해야 되는지 좀 터놓고 얘기할 때가 되지 않았나”라면서 “단일화 논의만큼은 개방돼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 후보는 안 후보의 국회의원 정수 축소 등 정치쇄신안에 대해 “좀 방향이 빗나간 것 아니냐 생각한다”고 비판기조를 유지했다. 특히 의원 100명 축소 방안에 대해 “시장권력을 통제하는 힘도 약해져 재벌개혁, 경제민주화와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고, 국고보조금 축소문제에 대해서는 “기부금을 재벌, 대기업에 의존하면 정책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생각이 다르다고 포퓰리즘이라거나 기득권 지키기, 이렇게 한 마디로 논의를 어렵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한편 문 후보는 개헌 문제에 대해 “꼭 필요한 개헌 과제는 아예 대선공약으로 내걸어 집권 초 바로 실현하는 게 옳다”고 설명했다. 그는 “집권 초 (개헌을) 시작하면 블랙홀처럼 돼 다른 개혁과제를 제대로 수행 못 하고 후반에 논의하면 차기선거를 대비한 정략적인 것처럼 오도돼 어렵다”면서 “대통령 4년 중임제는 국민 공론이 모아져 있고 부통령제도 과거 역사를 봐도 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