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달라진 포스코 위상’…장인화 회장, 尹 대통령 순방길 동행
장 회장, 에너지·광물 직접 챙기기
재계 “포스코·정부 ‘해빙무드’ 전환”
최태원·신동빈, 경제단체 수장 동행

장인화(사진) 포스코그룹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순방에 동행하면서 재계 5위 그룹 수장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정치권과 재계에 따르면 장 회장은 경제사절단의 일원으로 윤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에 동행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함께 순방길에 올랐다.

현 정부 들어 포스코그룹 수장이 대통령 해외순방에 동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전임 최정우 회장은 대통령 해외 순방 일정은 물론 연초 경제계 신년인사회 등 재계가 참여하는 주요 정부 행사에서 배제되면서 재계를 중심으로 “포스코 패싱이 아니냐”는 논란이 이어진 바 있다.

그러나 ‘장인화 회장 체제’로 전환된 이후 이 같은 분위기가 180도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장 회장은 앞서 지난달 23일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중소기업인대회’에 초청받았다. 이후 장 회장은 같은 달 26일 윤 대통령 주재로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리창 중국 총리 등 한·중·일 3국 대표단 환영 만찬에도 초청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회장 등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이번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길에도 동참하면서 재계 안팎에서는 장 회장 취임 이후 정부와 포스코그룹 간 불편한 관계가 해빙 무드로 바뀌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장 회장은 취임 후 줄곧 정부와 협력의지를 거듭 드러내 왔다. 지난 3일 열린 제25회 ‘철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한 장 회장은 “정부·협회·기업이 ‘원 팀’이 돼 현안에 대한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정보를 공유한다”고 강조하면서 친환경 전환을 최우선 실천과제로 제시하고, 정부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 정책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경제사절단 일원으로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철강·이차전지 소재 등 핵심 사업 분야에서 자원을 중심으로 협력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포스코그룹은 종합상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을 주축으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자원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한 포스코가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차전지 소재 분야 관련 니켈 등 핵심소재들의 글로벌 공급망 확보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한편 대통령 순방에 동행하는 최태원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 자격으로, 이번 순방에 동행하는 기업들을 살피면서 SK그룹의 중앙아시아 지역 관련 주요 현안을 챙기는 데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동빈 회장 역시 그룹 계열사인 롯데케미칼 등 주요 현지 사업을 중점적으로 살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롯데케미칼은 우즈베키스탄 현지 국영기업과 함께 가스전을 개발해 상업 생산 나서는 등 이번 순방에서 정부가 강조한 에너지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다. 아울러 빙과업체인 롯데웰푸드가 인수한 카자흐스탄 현지 제과업체 라하트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662억원 이상을 기록하는 등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재근·정석준 기자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