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덮친 반도체 경기 한파에 달러 수출입 결제대금 비중 감소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엔화와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지난해 수출입 결제 대금 중 달러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원화와 유로화는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3년 결제통화별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 결제 대금의 통화별 비중은 미국 달러 83.1%, 유로화 6.8%, 원화 2.8%, 엔화 2.3%, 위안화 1.7%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과 비교하면 달러가 2.0%포인트 줄었다. 달러 결제율이 높은 반도체(달러 결제율 98.3%), 석유제품(98.9%), 화공품(87.7%)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9.7% 감소했기 때문이다.

원화는 1년 새 0.5%포인트 늘어 6년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 승용차, 기계류와 정밀기기 등을 중심으로 원화 결제 수출이 증가한 덕분이라는 게 한은 설명이다.

문혜정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수출시 원화 결제 비중이 늘어나면 환전 수수료 등 거래 비용이 줄고 환율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는 측면에서 좋은 점이 있다"고 말했다.

유로화 수출 비중이 확대되면서 결제 비중도 1.0%포인트 늘었다. 엔화와 위안화 결제 비중은 전년 대비 보합 수준이었다.

수입 결제 대금의 통화별 비중은 미국 달러 80.6%, 원화 6.7%, 유로화 5.8%, 엔화 3.8%, 위안화 2.4% 등이었다.

통상 달러를 주고 수입하는 원자재를 중심으로 수입이 14.5% 감소하면서 달러 결제 비중도 전년보다 2.3%포인트 줄었다. 배럴당 원유 연평균 원유 도입 단가는 2022년 102.8달러에서 지난해 85.7달러로 16.7% 내렸다.

반면, 위안화의 수입 결제 비중(2.4%)은 1년 전보다 0.7%포인트 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원화와 유로화도 각 0.6%포인트, 1.0%포인트 늘었다. 문 팀장은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중국에서 수입이 늘면서 위안화 결제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