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르포] 이게 시속 170㎞로 날아간 소리?…꿈의 드론택시 내년에 뜬다
전남 고흥 K-UAM 실증단지 현장 찾아
OPPAV 소음측정 사전 실증비행 참관
체감상 이착륙 시 제외하곤 소음 작아
2주 뒤부터 컨소시엄별 1단계 실증 시작
지난달 28일 전남 고흥군의 K-UAM 실증단지에서 오파브(OPPAV)가 소음측정 사전 실증비행(DT)을 마친 후 착륙한 모습. 신혜원 기자

[헤럴드경제(고흥)=신혜원 기자] 공상과학(SF)영화 속 한 장면으로 여겨지던 ‘하늘을 나는 택시’가 상상을 넘어 현실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 내년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도심항공교통(UAM)은 전남 고흥에서 각종 시험을 거치며 대중에게 모습을 보일 채비를 갖추고 있다.

지난달 28일 전남 고흥군의 K-UAM 실증단지를 찾아 ‘세계 4대 UAM 실증사업’으로 꼽히는 그랜드챌린지(GC)의 준비작업인 사전 실증비행(DT) 현장을 참관했다. DT는 실증 항목에 대해 대역기를 활용해 사전 검증하는 절차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개발한 기체 오파브(OPPAV)가 이날 소음측정을 위한 시험비행에 나섰다.

정기훈 항우연 그랜드챌린지 운영국장은 “기체의 소음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이 실증단지에 구축돼 있다”며 “미국 항공우주국(NASA)만 갖고 있던 시스템인데 국토교통부 지원으로 대한민국이 전 세계에서 두 번재로 갖게 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8일 전남 고흥군의 K-UAM 실증단지 상공을 비행하고 있는 UAM 기체 오파브(OPPAV) 모습. 신혜원 기자

총중량 650kg, 1인승급, 최대속도 시속 240km 등의 성능을 갖춘 오파브는 이날 10여분 간 12km를 비행하며 소음측정을 진행했다. 시속 170km로 고도 100m·60m를 순항했다.

상용화되면 도심 고도 300~600m·폭 100m 회랑에서 운항하게 될 UAM 기체는 소음 문제가 안전성 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소음측정 비행을 참관해보니 체감상 운항 중 소음은 헬리콥터 대비 확연히 작게 느껴졌다. 통상 헬리콥터는 상공을 지나는 것을 눈으로 보지 않아도 프로펠러 소리만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소음이 큰 편이지만 오파브의 경우 이착륙 시를 제외하곤 소음이 크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소음측정장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위성용 항우연 박사는 “오파브 소음은 고도 130m에서 시속 160km 속도로 운항할 때 61.5가중데시벨(dBA·귀로 들을 수 있는 음의 크기를 주파수에 대한 가중치 필터를 적용해 상대적 단위로 나타낸 값)”이라며 “동급 헬기보다 15dBA 낮은 수준으로 약 5배가량 소음이 적게 느껴진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실내 환경에서 대화하는 정도의 소음이 60dBA”라고 말했다.

실증을 위한 대역기 역할로 한정된 오파브는 소음저감 기술이 반영돼 있지 않은 상태인데 향후 상용화에 활용될 기체에 관련 기술이 적용되면 소음은 더욱 작아질 전망이다.

지난달 28일 전남 고흥군 K-UAM 실증단지 격납고 모습. 신혜원 기자

이날 소음측정 DT 외에도 UAM 운항사용 운항통제시스템, 버티포트(UAM 기체 이착륙 지점), 교통관리시스템 등의 기술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고흥 실증단지의 전반적인 시설을 두루 살펴봤다. 현재 그랜드챌린지 참여 컨소시엄 중 한 곳인 ‘K-UAM 원팀’이 이달 셋째 주부터 진행될 실증을 위해 바삐 움직이고 있었다. 컨소시엄 중 가장 먼저 그랜드챌린지 실증 절차를 밟게 될 K-UAM 원팀은 현대자동차·현대건설·대한항공·인천국제공항·KT 등 각 분야 기업들이 각각 UAM 기체·버티포트·통신인프라/플랫폼·교통관리·운항 등 UAM의 주요 5대 분야를 맡아 사업을 진행 중이다.

전세계적으로 통용 가능한 운용 개념 및 기준 등 한국형 UAM 표준을 만들기 위해 진행되는 그랜드챌린지는 고흥 시험장에서 이뤄지는 1단계와 준도심(2-1단계)·도심(2-2단계)에서 진행되는 2단계로 나뉜다. 올해 말까지 컨소시엄별 차례로 기체 안전성, 통합 운용성을 비롯해 비행 단계별 기체 소음 등을 실증하는 1단계 절차를 밟는다. 돌발상황 및 충돌관리 등 예상치 못한 시나리오도 실증 내용에 포함된다. 이를 통과하는 컨소시엄은 올해 8월 준도심인 아라뱃길 상공에서 실증하게 된다. 이후 한강·탄천 등지로 실증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1단계 실증 협약을 체결한 기관은 총 46개로 통합운용 분야는 K-UAM 원팀 외에도 ‘K-UAM 드림팀(SKT·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한국국토정보공사 등)’, ‘UAMitra(버티·도심항공모빌리티산업기술연구조합 등)’, ‘UAM 퓨처팀(카카오모빌리티·LG유플러스·GS건설 등)’, ‘롯데 K-UAM팀(민트에어·롯데정보통신·롯데렌탈·롯데건설 등)’, ‘대우·제주(대우건설·제주항공 등)’,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팀’ 등 7개 컨소시엄이 실증에 참여한다.

지난달 28일 전남 고흥군의 K-UAM 실증단지에 구축된 승객터미널 모습. 신혜원 기자

기본적으로 각 컨소시엄이 경쟁을 하는 체제지만 각 사들은 이를 넘어선 더 큰 목표인 UAM 산업 생태계 형성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20년 6월부터 민·관·학·연 합동 정책 추진체계인 UAM 팀코리아를 만들었고 산하 5개 실무분과 14개 워킹그룹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그랜드챌린지 통과 컨소시엄 개수도 한정돼있지 않다. 7개 컨소시엄이 모두 자격을 갖추면 전부 통과 가능한 식이다. 이러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2040년 6090억달러(한화 약 731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관측되는 UAM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다.

최승욱 국토교통부 UAM정책과장은 “UAM 산업의 태동과 활성화를 위해 기업들간 협력 및 소통관계를 잘 유지하고 있다. 보다 나은 (UAM) 기준을 잡기 위한 과정”이라며 “최초 상용화 이후 시장이 커지기 시작하면 각 플레이어들이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사업을 추진하는 부분은 열려있다”고 했다.

이와 별개로 최 과장은 UAM 산업과 관련한 가장 큰 관심사인 안전성과 관련해선 “공항에서 외국 갈 때 타는 항공기 안전인증 수준에 준해서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국장 또한 “그랜드챌린지의 기체 안전성 시험은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 대형헬리콥터로 승객 운송을 하는 최고 난이도 항목을 사용하고 있다”며 “수직이착륙 항공기의 가장 타이트한 (안전성 시험) 기준을 따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hwshi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