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관 주도로 만든 조선 지리지 ‘여지도서’ 보물 됐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지도서’. 강도부 읍지 부분. [문화재청 제공]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조선 후기에 관의 주도로 각 지역에서 만든 자료를 모아 만든 지리지, 고려시대에 청동으로 만든 북 등이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조선 영조(재위 1724~1776) 때 각 군현에서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리 자료인 ‘여지도서’(輿地圖書) 등 총 7건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여지도서는 조선 후기 사회경제사와 역사·지리를 연구할 때 필수적인 자료다. 영조 대에 각 군현에서 작성한 읍지(邑誌·한 고을의 연혁, 지리, 풍속 등을 기록한 책)를 모아 55책으로 만든 것으로, 1760년대 전후에 자료가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읍지에서 기록한 호구(戶口·호적상 집의 수효와 식구 수), 전결(田結·논밭에 물리는 세금) 등을 적은 내용을 고려할 때 1759년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교회사연구소가 소장한 이 자료는 현존하는 유일본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지도서’. 과천현 지도 및 읍지 부분. [문화재청 제공]

여지도서는 기존 지리지와 달리 각 군현 읍지 앞에 지도가 함께 실린 점이 특징이다. 경기도와 전라도를 제외한 6개 도의 지도와 영·진 지도 12매, 군현 지도 296매 등이 포함돼 있다.

지도 형식이나 구성, 채색은 각 군현마다 다르지만, 내용은 비교적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역의 산과 하천, 성씨, 풍속 등 38개 항목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동국여지승람’ 등 이전에 만들어진 지리지보다 항목이 확대된 것이다. 특히 호구, 도로 등 사회경제적인 항목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고려 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 북. [문화재청 제공]

고려 의종(재위 1146~1170) 대인 1162년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 북도 보물이 됐다. 특히 꽃술을 삼각 형태로 쌓아 삼각형과 역삼각형 형태로 교대로 반복한 표현은 고려 청동 북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 터라 공예 연구에서도 주목할 만한 사례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동 북 다수가 출토지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 청동 북은 제작 시기, 무게, 사찰명 등을 알 수 있고 출토지도 분명해 역사적 가치가 높다.

경북 칠곡 송림사의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 [문화재청 제공]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경북 칠곡 송림사의 ‘석조삼장보살좌상 및 목조시왕상 일괄’은 ‘천상’(천장보살), ‘지상’(지지보살), ‘지옥’(지장보살)을 아우르는 삼장보살을 조각으로 다룬 국내 유일한 사례라 의미가 있다. 삼장보살은 불화 작품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제작 당시 모습에서 심한 손상이나 변형, 결손 없이 전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밖에 석가모니의 탄생부터 깨달음과 열반에 이르는 일대기가 담긴 ‘협주석가여래성도기’(夾註釋迦如來成道記), 우리나라의 대표 불경인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쉽게 풀이해 적은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金剛般若經疏論纂要助顯錄),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참회하고 염불할 때 행하는 의례 절차가 수록된 10권본의 불교 의식집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 등 전적류 4건도 보물로 이름을 올렸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