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화웨이→틱톡...‘장난같은 동영상’이 안보 논쟁 중심에
막강한 사용자 정보수집 통해 미국민 감시
美 정치권, 中 기업이 여론조작 가능성 우려
“자유주의 첨병 美가 中처럼 SNS 금지” 논란
공립기관 퇴출 시작...인플루언서·Z세대 반발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하원 의회에서 열린 ‘틱톡 청문회’에서 버디 카터 의원(공화·조지아)이 각종 ‘챌린지’라는 이름으로 퍼지는 틱톡의 위험한 동영상이 어린이들에게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하고 있다(위쪽).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참석한 싱가포르 화교 출신의 추 쇼우즈 틱톡 최고경영자(CEO)가 미 의원들의 거센 비판에 답변하고 있다. [AFP·AP]

미국 하원이 23일(현지시간)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TikTok) 최고경영자를 불러 청문회를 열었다. 여야 의원을 막론하고 틱톡의 안보 위협에 한목소리를 내며 청문회장은 틱톡 성토장을 방불케했다. 고작해야 10대들이 ‘춤이나 추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은 어쩌다 미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엄중한 혐의를 받게 됐을까. 같은 이유로 미국에서 축출된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오버랩된다.

이날 열린 미 하원 에너지·상업위원회 청문회에서 의원들은 추 쇼우즈 틱톡(TikTok) CEO를 곤혹스러운 상황까지 몰아붙이며 강하게 압박했다. 그러면서 미국 내에서 틱톡이 퇴출되는 것을 막으려면 중국 지분을 포기하고 미국에 매각할 것을 요구했다.

뉴욕타임스, CNN 등 미국 언론들은 이날 미국 하원에서 열린 틱톡 청문회가 미국에서 틱톡을 아예 금지토록 하는 방안을 더욱 진지하게 고려하게 만드는 역할을 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힌리히 재단의 연구원인 알렉스 카프리는 CNN에 “틱톡 청문회는 모든 ‘중국’ 기술 기업이 직면한 규제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라고 진단했다.

언론들은 틱톡이 미국에서 유난히 위협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가장 원론적인 이유로 ‘중국 소유’라는 점을 꼽았다. 틱톡의 뛰어난 정보수집 능력이 미국 정부와 미국인에 대한 ‘스파이 애플리케이션’ 역할을 하며 미국 사용자의 정보를 중국 정부와 공유할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로 틱톡은 사용자가 동영상에 얼마나 오래 머무르는지, ‘좋아요’를 누르거나, 동영상을 공유하거나, 댓글을 달았는지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포유’(For You) 맞춤 피드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데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틱톡의 ‘포유’가 ‘나 자신보다 나를 더 잘 안다’고 말하는 정도다. 이 과정에서 틱톡은 사용자 컴퓨터의 고유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는 물론,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 데이터와 연락처 목록에 있는 사람까지 알아낼 수 있다.

미국 안보 당국자들은 틱톡이 특정 동영상을 전략적으로 띄워 홍보하거나 반대로 사라지게 만듦으로서 미국 내 여론을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틱톡의 미국 내 월간활성이용자(MAU)는 미국 인구의 절반 가량인 1억5000만명에 달한다.

마르코 루비오 플로리다주 공화당 상원의원과 마이크 갤러거 위스콘신주 공화당 하원의원은 “이 정보로 틱톡이 수백만 명의 미국인에 대한 프로필북을 만들 수 있고 이는 협박에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틱톡 측은 텍사스 오스틴에 본사를 둔 오라클과 파트너십을 맺은 ‘프로젝트 텍사스’를 통해 미국이 걱정하는 데이터 안보에 대한 우려가 해결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미국 정부를 비롯해 오라클과 같은 제3자 기업도 틱톡의 데이터 관행에 대해 어느 정도 감독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조치로는 미국 관리들을 여전히 안심시키지 못하고 있다. 틱톡이 내부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하든 이론적으로 중국이 틱톡에 대한 소유권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같은 혐의를 받았던 화웨이 역시 비슷한 조치를 취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구 5G 시장에서 쫓겨나는 것을 피하지 못했다.

미국은 화웨이 제재 당시 때와 마찬가지로 우방국들을 끌어들여 틱톡 압박에 동참시키고 있다.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일본·캐나다·뉴질랜드 등이 정부 기기에서 틱톡 사용 금지했거나 일부 제한하고 있다. 틱톡을 둘러싼 안보 갈등이 ‘제2의 화웨이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민경 기자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