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별기고] 탄소 중립을 위한 게임 체인저

‘기후변화’가 아닌 ‘기후위기’라는 단어가 더 현실감 있게 다가오는 시대를 우리는 마주하고 있다. 지난 4월 기후정상회의에서 세계 각국 정상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더 강도 높게 추진하기로 했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최대 90%까지 상향조정하고 탄소중립의 필요성에 대해 전 세계의 동의를 구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추가로 상향하겠다고 선언했다.

2018년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억3000만t으로, 1990년 대비 150%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 중 에너지 분야가 8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감축목표를 달성하고 실질적 탄소중립을 이루려면 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이 핵심 과제다. 이를 위해 가장 주효한 솔루션은 태양광과 풍력으로 대표되는 재생에너지를 빠르게 확대하는 것이다. 재생에너지로만 전기를 100% 생산할 수 있으면 온실가스 문제는 사라진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발전은 우리나라 필요 전력을 모두 공급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기상 여건에 따라 전기생산 변동성이 너무 크다. 우리는 이를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이라고 부르고 이는 친환경 재생에너지가 가진 치명적인 단점이다.

다양한 에너지원을 통해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에너지 믹스(energy mix)’ 관점에서 화석연료 발전은 어느 정도 필요한데, 문제는 바로 온실가스 배출이다. 그래서 최근 들어 화석연료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안인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기술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다. CCUS기술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압축·수송 과정을 거쳐 땅속 또는 깊은 해저에 저장하거나 유용물질로 전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이다. 이산화탄소의 90% 이상, 필요에 따라서는 99.9% 이상의 포집도 가능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CCUS기술에 대해 산업 현장에서 나오는 대규모 CO2를 경감시킬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2030년 7억t, ’2050년 28억t의 CO2 감축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런 이유로 세계 각국은 CCUS기술 고도화를 위해 막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특히 CO2를 지중 저장하는 CCS기술은 이미 유럽, 미국 등에서 상업가동 중인 프로젝트가 30여개에 이른다. 우리나라도 지난 10년간 ‘Korea CCS 2020사업’이라는 대형 국가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CCUS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선결돼야 할 것들이 있다. 대량의 CO2 저장을 위한 사이트 확보가 필요한데 이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검토돼야 한다. 또한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포집, 수송 및 저장비용에 대한 현실적인 보상정책도 필요할 것이다.

인류가 직면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 탄소중립을 위해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는 것은 당연하지만 현시점에 화석연료를 병행해야 한다면 CCUS기술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일 수밖에 없다. CCUS가 에너지 분야 탄소중립의 게임 체인저로 기후위기 또한 극복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광순 씨이텍 대표(전 서강대 화학공학과 교수)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