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은 어려운 사람들이 가는곳 인식 여전
다양한 노인의 욕구 충족할 수 있는 기능 필요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노인’이라고 불리는 인구집단은 60대에서 100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지난해에는 노인 인구비율이 14%를 넘어섰으며 올 4월에는 15%를 넘어섰다. 이런 추세라면 2025년에는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운 빠른 속도로 초고령 국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노인을 위한 복지시설로 대표되는 노인복지관에 관한 인식과 이용률의 변화는 노인욕구의 변화를 대변하고 있다.
18일 서울연구원 등에 따르면 2008년에 서울노인의 15.9%가 노인복지관을 이용했지만 2011년에는 11.5%, 2017년에는 9.4%로 이용률이 점차 줄어들었다. 서울노인의 노인복지관 이용 의향에 대한 응답도 2008년에는 46.4%였지만 2017년에는 29.7%로 감소했다.
특히 최근 서울노인 2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9.4%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기에는 아직 젊다고 생각해서 복지관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복지관 시설이나 프로그램이 부족해서라는 이유보다 기관 정보가 부족해서, 교통이 불편하고 기존 이용노인과의 조화가 어려워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지 않는 사례가 많다.
하지만 이용률의 감소가 노인복지관의 필요성이 줄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과거와 달리 현재는 노인복지관과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많고 노인의 경제적 수준과 건강 수준 향상으로 욕구도 다양해지면서 복지시설 외에 다양한 기관 선택의 폭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이는 증가하는 복지 수요와 노인복지관의 역할 강화 요구에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역사적으로 서울시 노인복지관은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을 중심으로 시작해 주로 저소득층의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운영됐다. 그렇다보니 대부분의 노인복지관이 여전히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노인복지관을 이용한다는 인식이 있다. 이는 경제력과 정보력, 기동성을 갖춘 새로운 노인복지관 진입을 어렵게 한다. 이에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노인의 10% 미만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전히 지역사회에 복지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노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새로 지을 노인복지관은 기존 노인복지관의 서비스 제공을 받지 못한 사각지대의 취약한 노인과 다양한 노인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choig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