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쌓기+유럽진출 자신감…위탁형 CDMO모델 주목
“협회-NIBRT 협력 한국에 교육기관 두자” 양측 공감도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적극적인 유럽 진출을 당부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과 국내 제약사 간부들로 구성된 한국의 유럽사절단이 최근 아일랜드, 독일 등을 잇달아 방문하면 큰 환대를 받았다. 아울러 유럽 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이들 나라 주요기관의 대표, 핵심간부가 한국 제약·바이오산업계 방문단의 일정을 줄곳 동행하는 등 가는 곳 마다 우리측을 환대하고 우정을 과시해 한국기업인들의 호감을 샀다. 현지 산학계 인사와의 네트워킹 기회, 우리가 배우고 발전시켜야할 시사점 체득 등을 통해 유럽이 결코 멀리 있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이 방문단 구성원들의 중론이다.
13일 협회에 따르면, 업계 대표단은 지난 5~9일 아일랜드 바이오 전문인력 교육기관인 NIBRT와 아일랜드 투자발전청, 세계 의약품전시회인 독일 CPhI 등을 잇달아 방문했다.
11월 8일 아일랜드 NIBRT에서 킬리안 오드리스콜 NIBRT 이사(스크린 왼쪽 앞)가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왼쪽 두 번째)을 비롯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대표단 등에게 NIBRT의 전문 인력 양성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이기수 종근당 본부장(스크린 오른쪽 두 번째)이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
▶NIBRT 협력 통해 국내 바이오제약부문 인력난 ‘해소’ 기대= 협회 원희목 회장을 비롯한 허경화 부회장, 이홍주 글로벌팀장 등과 삼일제약 권태근 상무, 유한양행 박남진 상무, 일동제약 김명현 이사, 종근당 이기수 본부장, 휴온스 오태영 본부장으로 구성된 협회 대표단은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NIBRT와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보건산업진흥원 곽수진 책임연구원이 함께했다. 아일랜드 NIBRT와의 이번 미팅은 지난 9월 협회와 체결한 MOU 후속조치로, 전문인력 교육 등의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 이뤄졌다.
간담에서는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국내 제약·바이오 부문의 전문인력 확보방안 등을 놓고 협의를 진행했다. 킬리안 오드리스콜 NIBRT 이사는 NIBRT의 강점에 대해 ▷해당 기업 요청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실제 설비를 운영해볼 수 있는 경험 제공 ▷글로벌 제약사의 교육 수행 등을 꼽았다. 원희목 회장은 “NIBRT의 협력을 받아 한국에 교육기관을 설립하면 동북아 지역 바이오 인력 양성의 허브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이에 킬리안 이사는 “그렇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CDMO 모델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 모색= 이어 협회 대표단은 아일랜드 투자발전청(IDA)과의 간담을 통해 아일랜드 시장에 진출할 경우 혜택과 현지 환경을 점검하고, 특히 유럽과 미국시장 진출을 계획중인 국내 제약기업들에게 아일랜드 현지에서의 위탁생산이 효과적인 사업모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간담회에서 토미 패닝 IDA 생명과학 부문 국장은 “아일랜드는 숙련된 직원에 기초한 높은 생산성, 글로벌 선진 기준에 부합하는 생산기지, 12.5%에 달하는 유럽 최저 수준의 법인세 혜택 등이 있다”면서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적극적인 진출을 당부했다.
제조를 기반으로 한 숙련된 인력 공급과 연구개발, 다양한 인센티브를 이유로 대부분의 글로벌 빅파마가 아일랜드에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는 만큼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개발·생산) 모델이 글로벌 진출 영역을 넓힐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기업의 아일랜드 진출 산학정 연계 인상적= 실제 중국의 바이오의약품 CDMO 전문기업인 우시 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는 현재 아일랜드 던달크 지역에 1차로 5만 4,000리터 규모의 제약공장을 건설중이며, SK바이오텍 역시 위탁생산에 초점을 두고 지난해 아일랜드 스워즈 지역의 원료의약품 생산공장을 인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동행한 제약기업 관계자는 “우시의 실제 진출 사례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고, 정부 기관과 학계, 산업계가 연계해 사업을 진행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선진국은 차근차근 규모를 키웠지만 한국이 단계별로 올라서는 것은 한계가 있다”면서 “기존에 갖춰진 시설과 인력을 한꺼번에 인수하는 과감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들은 이후 아일랜드를 선진화된 제약·바이오 생산기지의 허브로 만들기 위해 설립한 의약품 제조공정 교육·연구소(SSPC)와 우시 바이오로직스 현장을 방문, 아일랜드의 바이오산업 생태계 현장을 살폈다.
▶아일랜드 투자개발청 대표, 전 일정 동행= 이어 협회 대표단은 주아일랜드 한국대사관의 초대로 여운기 대사와 만찬을 함께하며 한국과 아일랜드 간의 제약바이오산업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IDA 김태균 한국담당대표, 보건산업진흥원 곽수진 책임연구원, SK바이오텍 관계자 등이 함께 했다.
원 회장은 “지난달 29일 서울에서 가졌던 제약바이오기업 CEO 대상의 간담회에서도 제약바이오산업의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해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화는 탈추격방식으로 해야한다고 의견을 모았다”면서 “그 과정으로 아일랜드의 제약바이오기업과 인력 양성기관 간의 유기적 협업은 우리에게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일랜드에 대한 투자는 북미와 유럽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아시아가 주요 파트너로 부상하는 상황이며,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방증하듯 IDA 한국 담당 대표는 아일랜드에서의 전 일정을 함께하며 한국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 행보에 큰 관심을 보였다.
▶CPhI선 국내 기업 분주, ‘고향까마귀’ 보고 반색= 아일랜드 일정에 앞서 원 회장 등 협회 대표단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콘퍼런스인 ‘CPhI 월드와이드 2019’를 참관해 행사에 참가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을 격려했다.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열린 CPhI에는 전 세계 150여개국에서 약 2500개 이상의 기업, 약 4만명이 참여했다. 우리나라 기업도 64곳이 참가했다.
CPhI에 참가하고 있는 유한양행 임직원들이 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 일행의 갑작스런 방문에 놀라며 반기고 있다. |
원 회장은 CPhI 참가 기업들의 부스를 돌아보며 글로벌 시장 진출 계획과 협회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 등을 청취했으며, 각 기업들이 CPhI 참여 목적과 글로벌 진출 성과를 이룰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에서 KOTRA 지역본부장과 수석전문위원을 만나 한국 제약바이오기업들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방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 간담에서 KOTRA 관계자는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다”면서 “우리도 적극적인 민관 협력을 통해 충분히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끝〉
▶아일랜드의 인력양성, 투자, 실무교육=아일랜드는 40여개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 생산 공장을 갖추고 있는 주요 의약품 생산국이다. 아일랜드 정부는 과감한 세제 혜택과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우수한 인력 양성 등을 통해 글로벌 10대 제약사 중 9개를 포함한 빅 파마들을 끌어오고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다. 이 같은 아일랜드 의약품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들이 이번에 시찰단이 찾은 NIBRT, IDA 등이다.
NIBRT(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and Training, 아일랜드 바이오공정 교육연구소)는 아일랜드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뒷받침할 전문 인력을 키우기 위해 지난 2011년 설립한 대형 교육시설이다. 지난해에만 약 4300명이 NIBRT 교육 과정을 이수했고, 그 중 80%가 아일랜드 내 제약바이오 기업에 들어갔다. 미국 화이자, BMS,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글로벌 기업들은 NIBRT로 인한 전문인력 수급을 아일랜드의 최대 강점 중 하나로 보고 잇따라 공장을 지었다.
IDA(Industrial Development Agency, 아일랜드 투자발전청)는 아일랜드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외국 기업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1949년 설립한 IDA는 지난 2015년부터 올해까지 약 1350개 회사를 지원했고, 약 4조원 이상을 R&D에 투자했으며 8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SSPC(Synthesis and Solid State Pharmaceutical Center, 의약품제조공정 교육연구소)는 의약품 제조 공정 분야에 특화되어 연구 및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24개의 기업과 9개의 연구소, 12개의 해외학술기관이 협업해 차세대 약물 제조와 의약품 생산과 관련된 솔루션을 산업계에 제공하고 있다.
abc@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