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자기업 40%·적자 16% 양극화
서울 소셜벤처 10곳 중 2곳은 1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올리는 등 경영 환경이 나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셜벤처라면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벤처로서 비영리 활동에 더 부합하지만 반드시 경영실적이 나쁘지만은 않은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4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소셜벤처 실태와 정책방향’을 보면 조사에 응한 소셜벤처 71곳 가운데 영업이익이 없거나(13%), 손해를 보는 기업(16%)은 29%였다. 영업이익률이 10%를 초과하는 기업이 20%, ‘0~10%’인 기업이 20%로 전체의 40%는 경영 상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0%’이 곳도 12%를 차지해 소셜벤처 간에도 양극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매출 구조를 보면 소비자 비율이 34.4%로 가장 높다. 다음으로 정부(24.8%), 일반기업(16.4%), 사회적경제조직(15.6%), 대기업·중견기업(8.8%) 순이었다. 이는 일반벤처와 비교해 정부매출 비율이 15%포인트 가량 높은 것이라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창업주의 연령대는 30대가 48%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40대(18%), 20대(14%), 50대(13%), 60대 이상(3%) 순으로 뒤 이었다. 성별은 남성이 66%, 여성이 34%로 남성이 과반을 차지했다. 전 세대 중 유일하게 20대에선 여성이 60%로 남성보다 많았다.
소재지로는 서울혁신파크가 있는 은평구가 20개(28.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마포구 13개(18.3%), 성동구 9개(12.7%), 서대문구 5개(7%), 중구 4개(5.6%) 순으로 주로 강북 도심권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의 조직 형태는 회사법인이 62%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사업체 20%, 협동조합과 사단법인 등 회사이외법인 13%였다. 전체 종사자 수가 5명 이하인 경우가 69%로 대부분 영세한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1명 뿐 인 곳도 14.1%, 2명도 11.3%였다.
창업자금은 ‘1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이 45%로, 절반이 소액으로 출발했다. ‘1억원 이상’ 21%,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13% 순으로 뒤 이었다. 창업자금의 출처는 창업자 개인 자금인 경우가 47.2%로 절반 가량이었다. 정부 창업지원금 등 지원금 형태가 32.1%로 뒤를 이었다. 그 밖에 정부융자(5.0%), 임직원 출자(4.9%), 은행 등 일반금융(4.3%) 순이었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소셜벤처가 관심 갖는 일자리, 교육, 예술, 인권 등 사회문제들은 청년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사회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소셜벤처를 이끌고 있는 대부분 인력이 청년이라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며 “이러한 조사 결과는 향후 소셜벤처에 대한 정책이 청년 정책과 결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교육, 일자리, 예술 등 청년 관심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소셜벤처의 협업 방안이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고 조언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