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철강 빅2, 실적 악화 현실화…제품가 인상 ‘사활’
원가 상승에 2분기 영업익 급감
현대제철·포스코, 협상 본격화
조선·차업계와 마찰 불가피

원자재가 상승을 제품가격에 반영하지 못해 실적이 크게 나빠진 국내 철강 ‘빅2’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후판과 자동차강판 등 철강제품 가격 인상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철강의 주요 수요처인 조선과 자동차업계와의 마찰이 예상된다.

31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지난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1% 급감한 2326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포스코는 영업이익이 14.7% 감소한 1조686억원을 기록했다.

양 사 모두 철광석 가격이 급등하며 오른 원가 인상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하지 못한 게 악재로 작용했다. 실제 철광석 가격은 2014년 7월 이후 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 가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톤당 100달러를 넘어선 뒤로 이달 19일 121.28달러에 달했다. 중국 철광석 수입가격도 121.18달러로 지난 1월과 비교해 67%나 올랐다.

그럼에도 조선, 자동차 등 전방산업마저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양사 모두 제품 가격에 원가 인상분을 반영하는데 실패했다.

이미 7월부터 가격 인상을 발표하고 있는 해외 주요 철강사들과는 대조적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도 하반기 실적 회복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제품가격 인상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후판 가격의 경우 철광석, 강점탄 등 원료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만큼 최소 5만원은 올려야 한다는 입장으로, 이달부터 하반기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에 돌입했다.

현대제철은 8월부터 자동차 강판 가격 협상에 나선다.

박혜림 기자/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