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니온페이? 알리페이? 카드사‘ 차이나딜레마’
30년만에 빗장 풀린 中 카드시장
국내카드사, 7조달러 시장넘자 잰걸음
中독점카드사 유니온페이와 잇단 제휴
핀테크시대 알리페이와 협약도 저울질
정치적 리스크 고려…눈치 경쟁 치열



중국 카드시장이 30년만에 빗장을 풀면서 한국 카드사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요우커 600만 시대는 둘째치고 7조달러 규모의 중국 카드시장의 개방을 남의 나라 일처럼 담너머 구경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그 긴 만리장성을 누구와 함께 넘을지 고민이다.

중국 독점 카드사인 차이나유니온페이와 함께 할지, 아니면 핀테크 공룡기업으로 떠오른 알리페이와 손을 잡을지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한다. 양자택일의 문제가 있다는 애기다. 일단 업계에선 “당연히 유니온페이”라는 쪽이 우세하지만, 핀테크 시대에 가속도가 붙으면 시장 판도가 어떻게 돌변할 지 예측불가라는 입장도 만만치 않다.

▶한국 카드사들, 일단 유니온페이부터 잡자=중국의 카드 시장 개방에도 누적 카드 발급수 40억장에 달하는 유니온페이의 아성을 무너뜨리기는 쉽지 않다. 결국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면 유니온페이와의 제휴가 필수라는 얘기다. 유니온페이에 대한 러브콜이 쏟아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 4월 16일 한국을 방문한 유니온페이 거화융 회장의 거미줄처럼 촘촘했던 일정이 이를 반증한다. 거 회장은 이날 하루에만 국내 국내 카드사 3곳과 업무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오전에 KB국민카드와 중국 현지에서 결제가 가능한 ‘모바일 카드 발급 및 결제 서비스 업무 제휴 협약’을 체결한 후, 오후에는 우리카드와 ‘자유로운 여행카드’ 출시 기념식을 가졌다. 이어 서초동 BC카드 본사로 건너가 ‘중국인 관광객 대상 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식’에 참석했다.

특히 눈길이 가는 대목은 중간에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과 오찬을 했다는 사실이다. 두 사람은 삼성페이의 중국 서비스에 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식 ‘만만디’는 어디에도 없어 보인다.

유니온페이는 지난 10일에는 중국 내 ATM기 60만대에서 유니온페이 마크가 달린 카드로 모든 은행 송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시장과 업무 영역을 더욱 확대하는 모습이다.

▶핀테크 시대, 알리페이도 무시할 수 없다=하지만 이면에는 유니온페이의 말 못할 고민이 있다. 위챗페이나 알리페이 같은 핀테크 업체가 유니온페이가 독점해왔던 오프라인 영역까지 침범해 오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 카드업계가 눈치를 봐가며 이득을 저울질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카드사들이 유니온페이와 제휴를 강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알리페이에 신경을 바짝 세우고 있다”면서 “유니온페이가 당장 수익을 가져다준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향후 시장 확대성이나 사업 다각화 등을 염두에 둔다면 냉정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알리페이의 성장성만 보고 덜컥 손을 잡았을 경우, 자칫 유니온페이와의 관계가 단절될 수 있어 뜸을 들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도 요우커들의 결제 수단이 이제는 유니온페이 카드 하나만이 아니다. 실제로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에서는 지난달 3일 알리페이 서비스를 도입한지 6일 만에 200여건(3000만원 이상)이 넘는 결제 수요가 발생하는 등 알리페이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비록 비즈니스모델이 다르지만 결제시장을 가져가고 있다는 점에서 카드업계가 알리페이를 우습게 볼 수만은 없는 대목이다.

▶정치적 리스크까지 따져라…눈치경쟁 치열=상황이 이런 만큼 중국시장에 관심이 높은 업계 관계자들은 유니온페이와 알리페이의 정치적 배경까지 리스크 범주에 넣으며 치열한 눈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 언론 뉴욕타임스는 알리바바가 중국 정치 파벌의 하나인 ‘태자당’(혁명 원로의 자녀)을 배후에 두고 있다는 보도를 한 바 있다.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 기존 금융권을 와해시킬 수 있는 알리페이를 내놓을 수 있었던 것도 이같은 정치적 배후가 작용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반면, 유니온페이의 경우 거화융 회장이나 스원차오 총재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출신으로 정통 금융관리 인맥이다.

승승장구하던 기업이 정치적 이권에 따라 하루아침에 패망의 길을 걸을 수도 있는 중국 재계의 현실을 고려할 때 정치적 리스크도 고려해야할 요인이라는 애기다. 

한희라 기자/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