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중동 국가들은 포스트오일시대에 대비해 산업다각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국가별 중장기 전략을 수립, 석유 부문 이외에 사회간접자본(SOC), 석유화학, 보건, 정보통신, 금융 등 다양한 분야를 적극 육성하고 있다.
한국이 중점적으로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국가들의 전략을 보면 쿠웨이트는 ‘비전 쿠웨이트 2035’, 사우디는 ‘장기전략 2024’, 아랍에미리트(UAE)는 ‘UAE 비전 2021’, 카타르는 ‘카타르 국가비전 2030’ 등 다양한 전략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4개국과 바레인, 오만 등 6개국으로 구성된 걸프만협력위원회(GCC) 국가들이 추진하는 프로젝트 규모는 건설분야 3509억달러, 운송분야 1248억달러, 석유분야 863억달러 등 총 7640억달러에 달한다. 원화로는 860조원 규모에 이른다.
더욱이 중동 주요국가들은 소득은 높으나 자국인력은 적어 외국인력에 대한 수요가 많다. 실제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6만4000달러에 달하는 UAE의 경우 외국인이 89%이며, 10만달러가 넘는 카타르도 외국인이 87%에 이른다.
중동이 육성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과 보건의료 등은 한국 기업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유망한 분야다.
정부는 지난 1970~1980년대 건설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1차 중동붐에 이어 이제 진출 분야의 다양화와 청년들의 ‘전문직 일자리’를 중심으로 제2의 중동붐을 일으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는 2020 카타르 월드컵과 두바이 엑스포 등 대규모 국제행사가 열려 한국기업의 진출을 한층 더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이에 따른 투자수요을 겨냥하고 있다.
중동은 아시아와 유럽에 이은 제3위 교역권(1540억달러)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순방한 4개국 교역규모는 1139억달러로 중동 전체 교역액의 74%를 차지한다. 한국은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를 주로 수입하고 자동차, 선박, TV 등을 주로 수출한다.
하지만 투자협력은 미미한 수준이다. 중동 국가들의 지난해 대(對)한국 투자규모는 2억2000만달러로 전체의 1.2%에 불과하며 한국의 대중동 투자도 10억달러로 전체의 4% 수준에 머물고 있다. 협력 분야도 에너지와 플랜드에 치중돼 있다.
최근 박 대통령의 순방을 통해 원전과 플랜트는 물론 식품, 의료, ICT, 금융 등에서 총 44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협력 및 진출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정부는 이에 대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진행해 실질적인 결실을 맺도록 할 방침이다.
/hj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