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는 최근 ‘ECB 양적완화(QE)의 역내외 경제ㆍ금융시장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이달부터 시작되는 ECB 양적완화의 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효과는 미국과 영국의 3분의1~5분의1 수준에 그치고, 지속적인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가 좀처럼 확산되지 않는 일본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양적완화는 국가별로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데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볼 경우 미국은 양적완화 이후 총 150bp(1bp는 0.01%포인트) 하락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영국은 60bp, 일본은 2010년 이후 30bp 하락해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었다.
<사진=게티이미지> |
보고서는 유로존의 경우 은행 중심의 차입구조를 지니고 있어 은행신용의 확대효과가 중요하지만 은행의 차입기피와 대출수요 부진으로 당분간 가시적인 대출확대가 어려우며 양적완화 효과도 상당부분 시장에 반영돼 추가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1조유로의 양적완화가 단행될 경우 독일 10년물 국채금리가 70bp 하락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난해 9월 이후 양적완화 기대에 힘입어 이미 80bp가 하락해 양적완화가 시행돼도 추가 금리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또 ECB의 양적완화가 1차에 그칠 경우 역내 총생산(GDP) 증대효과가 0.15~0.16%포인트에 머물러 그것이 EU 이외 지역의 경제를 진작시키는 데는 역부족일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스필오버(Spilover) 보고서에 따르면 유로존 성장률이 1% 높아지면 미국은 0.05%, 중국과 인도는 0.1%, 중동 0.2%, 러시아는 0.2% 이상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유럽이 아시아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이번 양적완화로 수출에 긍정적 영향이 예상되고, 이에 힘입어 중국의 성장률이 높아지면 아시아 국가에 파급되는 효과도 기대되지만 그것이 역외 국가의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유럽의 국채시장이 미국보다 협소하고 일부 남유럽 국채에 대한 회피요인도 작용해 풀린 자금이 유로존 이외의 지역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한국을 비롯한 비(非) 유로존 국가의 경우 유가하락 등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에 자금유입 요인이 가세하면서 통화강세가 심화되고 저물가 압력이 가중됨으로써 오히려 부담을 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에 비해 신흥국의 채권금리 하락은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에 우호적일 것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한편 ECB는 5일(현지시간) 회의를 열어 양적완화 단행을 결정하며, 9일부터 실제 양적완화가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hj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