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글로벌 환율전쟁…올들어 18개국 금융완화, 긍정적 측면보다 리스크 확대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올들어 유럽중앙은행(ECB)을 비롯해 18개국(지역)이 양적완화나 정책금리 인하 등 통화완화 정책을 펼쳤으며, 이에 따른 경기회복 등 긍정적 요인보다는 잠재적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는 14일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의 영향 및 리스크 요인’ 보고서를 통해 주요국이 경쟁적으로 통화정책 완화에 나서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번째로 통화정책 완화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매김했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각국 중앙은행들은 작년 하반기 이후 경기 진작과 디플레이션 방어를 위해 잇따라 통화정책을 완화했으며, 이로 인해 통화 절상 압박을 받는 인접국들이 수출 약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통화를 완화하는 등 글로벌 환율전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G10 통화국 가운데 유로존을 비롯해 캐나다, 노르웨이, 스웨덴이 통화정책 완화에 동참했으며, 11개 신흥국도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특히 스위스, 인도, 캐나다, 싱가폴, 호주, 중국 등이 시장 예상과 달리 정책금리를 인하, 시장 변동성이 확대됐다.

보고서는 주요국의 경기와 물가상황 등에 비추어 볼 때 통화정책 완화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쟁적인 통화정책 완화의 요인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유가 하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글렉시트(Grexit,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 등 불안요인에 따른 하방 리스크, 정책대응 미흡시 자국 경제의 피해 우려 등을 꼽았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추가 완화 및 오는 3월 ECB의 양적완화가 본격화될 경우 이런 현상이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통화완화 정책이 확산됨에 따라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 및 투자자금의 고수익 추구 등으로 글로벌 자산가격에 긍정적 영향이 예상되지만, 이로 인한 잠재적 리스크가 확대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자금흐름의 쏠림이 심화될 경우 자산가격 변동성이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풍부한 유동성이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에 몰리면서 고평가 논란이 있는 일부 자산가격이 더욱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신흥국 측면에서는 자산가격 안정으로 펀더멘털이 과대평가된 국가와 통화정책 완화에 동참하지 못하면서 정치ㆍ경제적 취약성이 표면화된 국가로 양분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취약한 국가에서의 자금이탈 가능성도 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정책금리를 인상할 경우 리스크는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달러화 강세에 따른 수출 부진, 기업실적 악화 등으로 미국의 성장세가 둔화될 경우 글로벌 경제상황은 더욱 위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향후 미국과 여타국간 통화정책의 상충 및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경쟁 심화 등을 감안할 때 최근의 통화정책 완화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보다 잠재적 리스크를 더욱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