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10년 전에 비해 우리나라의 종교인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층이 이탈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종교별로는 개신교와 천주교 인구는 제자리걸음, 불교 인구는 크게 줄었다. 절대 인구는 불교가 가장 많았고, 개신교가 근소한 차로 뒤따랐다.
12일 여론조사기관인 한국갤럽이 지난해 4월17일∼5월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해 펴낸 ‘한국인의 종교’ 보고서에 따르면 10년 전인 2004년 조사 때는 종교인의 비율이 54%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50%로 4% 포인트 감소했다. 젊은 층의 종교인 비율이 두드러지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년 전 조사에서는 종교를 믿는 20대 비율이 45%였지만 2014년 조사에서는 31%로 14%포인트나 감소했다. 30대 종교인 비율 역시 10년 전 49%에서 이번 조사에서는 38%로 11%포인트 감소했다.
40대와 50대 종교인 역시 각각 6%포인트(57%→51%), 2%포인트(62%→60%) 줄긴 했지만 20∼30대 비해 폭이 적다.
종교별 비중은 불교 22%, 개신교 21%, 천주교 7%, 비종교 50%로 종교인 가운데는 불교 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년 전과 비교해 불교인은 2% 감소했고 개신교인과 천주교인은 변화가 없었다. 불교의 경우 2030세대 비율이 10% 내외, 5060세대가 30% 이상으로 연령별 격차가 큰데 비해 상대적으로 개신교와 천주교는 신자의 연령이 고르게 분포됐다.
갤럽은 지난 1984년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 의식’에 대한 조사를 처음 한 이래 1989년과 1997년, 2004년에도 비슷한 조사를 했다.
1989년부터 조사 보고서 분석에 참여한 윤승용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이사는 “2030세대의 탈(脫)종교 현상은 종교 인구의 고령화, 더 나아가 향후 10년, 20년 장기적인 종교 인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 “10년 전 조사에서는 불교 약진, 개신교 정체, 천주교 감소로 요약됐지만 2014년 현재 종교 인구 지형은 불교 감소, 개신교와 천주교 정체로 요약할 수 있다”며 “종교 인구 측면에서는 현재 불교인의 증감이 중요한 변수”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2.5%포인트(95% 신뢰수준)이다.
mee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