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 제외 한국 대기업 심각한 상황…낙수효과도 떨어져”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삼성 계열사를 제외한 한국 대기업의 부가가치 생산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일부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으며, 대기업의 성과가 중소기업이나 가계로 확산되는 ‘낙수효과’도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개혁연구소는 27일 ‘50대 기업의 부가가치 생산 및 분배에 관한 분석(2002∼2013년)’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50대 기업에는 삼성그룹 9개사, 현대차ㆍSKㆍLG그룹 각 5개사 등 상위 4대 재벌에 속한 기업이 24곳을 차지했고, 공정위가 지정한 자산 5조원 이상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은 기업은 네이버 1곳이었다.

4대 재벌 소속 24개사가 생산한 부가가치는 2011년 94조1000억원에서 2013년 119조원으로 늘었지만, 이는 주로 삼성그룹의 성과에 기인했다. 2013년의 경우 삼성 계열 9개사가 총 62조8000억원의 부가가치를 생산해 50대 기업 전체의 37.1%를 차지했다.

반면 현대자동차 소속 5개사의 부가가치 생산은 2013년까지 3년 연속 24조4000억원으로 정체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삼성 9개사를 제외한 기업의 성과는 정체 또는 하락 양상을 보였고, 부가가치 생산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기 시작하는 등 우려스러운 정황이 다수 발견됐다”며 “50대 기업의 하위 기업ㆍ그룹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50대 기업의 부가가치 구성비에선 영업잉여 및 감가상각비 비중은 매우 높은 반면, 인건비 및 금융비용의 비중은 낮았다.

영업잉여와 감가상각비의 대부분은 기업 내부에 유보되는 반면, 인건비와 금융비용의 비중이 낮다는 것은 이들 기업의 성과가 국민 다수의 고용과 소득으로 확산하는 낙수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경제개혁연구소는 “임금ㆍ이자ㆍ배당 등의 형태로 이해 관계자들에게 분배되는 몫도 현저히 줄었고, 기업에 유보된 내부자금이 투자 지출로 이어지는 부분도 줄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규제혁파 및 노동시장 개혁 등을 통해 대기업의 투자를 늘리는 전략으로는 이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며 “가계소득 증대세제 3대 패키지의 틀을 수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