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부모와 노인에 대한 가족 부양의식이 약해졌고, 이들 노인들의 노후준비까지 부족해 65세 이상 노인 30%가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을 통해 생계를 꾸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김태완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국민연금공단의 연금포럼(2014년 겨울호)에 발표한 ‘노인빈곤 현황과 기초연금의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부모 및 노인세대 부양의식은 ‘가족중심 부양책임’에서 ‘가족과 정부ㆍ사회 공동 부양책임’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낫다.
실제 통계청이 매년 내놓는 사회조사 자료에 따르면 1998년에는 89.9%의 국민이 노부모는 가족이 책임져야 한다고 답했지만 2002년(70.7%), 2008년(40.7%)로 계속 추락했다. 2012년에는 33.2%까지 줄어들었다.
반면 ‘가족과 정부ㆍ사회’ 나 ‘정부ㆍ사회’가 노인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의식은 2002년 19.5%에서 2008년 47.4%까지 증가했고, 2012년에는 52.9%로 늘어났다.
노인 스스로 자신의 노후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식도 1998년 8.1%에서 2002년 9.6%, 2008년 11.9%, 2012년 13.9% 등으로 꾸준히 늘어났다.
노인 부양 의식은 줄고 있지만, 노인의 노후준비 수준은 기대 이하였다.
이윤경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의 ‘경제적 노후준비 실태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는 재무영역 노후준비 수준은 100점 만점에 60대(60~64세)가 37.2점에 불과했다. 40대(40~49세) 49.8점, 50대(50~59세) 47.9점, 30대(35~39세) 46.8점 등이었다.
노후를 충분하게 대비하지 못했다 보니, 은퇴 후 생계를 위해 경제활동을 해야 하는 노인들이 많은 상황이다. 10명중 3명이 여전히 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연구위원은 “현 세대 노인들은 과거 노인들과 달리 노인부양의식이 옅어지는 상황에서 자신의 노동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며 “현 세대 노인들이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초연금 같은 공적 이전소득을 확대하는 등 강력한 소득보장제도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okidok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