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일가양립’캠페인 실시 1년…기업현장을 가다
일에 치어 가정을 돌볼 여유가 없던 아버지 세대 직장인들에게 ‘저녁이 있는 삶’은 꿈이었다. 월차나 연차가 있어도 상사 눈치보느라 제대로 쓰지 못하고, 퇴근시간을 엄수하는 이른바 ‘칼퇴근’은 언감생심 생각도 못하던 시절 얘기다. 그런데 최근에는 직장생활 풍속도가 바뀌고 있다. 가정을 잘 챙겨야 일도 잘되고 업무 효율도 높아진다는 게 상식으로 자리잡는 분위기다. 이른바 ‘일과 가정의 양립이다. 정부도 ‘일가(家)양득’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결혼한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아이가 없는 안산도시공사의 이지섭(32ㆍ여·사진) 주임. 이 주임은 얼마 전 회사의 독특한 탄력근로시스템을 활용하면서 직장 다니는 재미가 더욱 커졌다.
이지섭 안산도시공사 주임 |
안산도시공사의 탄력근로시스템은 바로 ‘근로시간저축제’. 바쁠 때는 초과근무로 근로시간을 저축하고, 이를 쌓아 뒀다가 필요할 때 은행에 예금한 돈 빼 쓰듯 휴가를 갈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 주임은 지난 인천 아시안게임 때 하루 5~6시간 씩 초과근무를 해 50시간의 근로시간을 저축했다. 그의 근로시간저축 통장에는 모두 6일이 쌓였다. 이 주임은 얼마 전 4일을 사용했다.
그는 “4일 중 3일은 일 때문에 바빠서 미뤄뒀던 치과 치료를 받았고, 1일은 조용히 근교로 나들이를 가서 쉬다 왔다”며 “처음 써 봤는데 너무 좋았고 나중에도 또 쓰고 싶다”고 말했다.
근로시간저축제를 쓰기 전 이 주임은 일이 많더라도 추가 근무를 하지 않고 정시에 퇴근했다. 다음날 하면 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을 미루니까 집중력과 업무 효율이 떨어졌다. 그래서 생각을 바꿨다.
“일이라는 게 어쩔 때는 넘쳐 나게 많을 때가 있잖아요. 그럴 때 근로시간저축제를 활용하면 업무 효율도 높아지고 나중에 저축한 시간을 휴가로 받아 쉬게 되면 삶의 질도 높아지지 않겠어요”
직장 동료들은 근로시간저축제를 적극 활용하는 이 주임을 부러운 눈으로 바라본다. 일부는 상사 눈치를 보느라, 일부는 한 번도 해본 적 없어서 이 주임의 일탈(?)이 생소하게 느껴져서다.
일반 직장에서는 요즘도 월차나 연차를 제 때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출근해 일에 매진하는 것도 아니다. 투덜투덜 불만을 토해내며 시간을 때우기 일쑤다.
이 주임은 “휴가를 가면 일 없는 사람 취급하는 직장 분위기를 바꿔야 한다”며 “편하게 쉴 수 있어야 더 열심히 일할 수 있다는 걸 알기에 모든 사람이 실천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중에 아이가 생겨 육아를 하게 되면 근로시간저축제를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허연회 기자/okidok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