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크엔드] 전문성보다 학연 · 지연…낙하산 수두룩
겹치기 · 장수도 빈번…전문성 담보 어려워
2014년 3월 주요 기업들이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속속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가운데 권력기관 출신 인사나 전문성과 거리가 먼 ‘낙하산’ 인사들이 무더기로 이름을 올려 형식적이란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보다는 ‘예스맨’, 대주주 감시보다는 ‘방패막이’=생뚱맞은 사외이사의 대표적인 경우는 학연 등으로 얽힌 것이다. 이들은 전문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대주주나 오너와 개인적인 친분이 깊다는 점에서 기업의 전횡을 감시하고 견제한다는 사외이사의 본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효성은 오는 21일 주총에서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기로 했다. 최 전 장관은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과 경기고 동문이다. 조 회장이 조세 포탈 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된 상태라 최 전 장관의 사외이사 선임은 더욱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경제개혁연대 측은 “공직자 출신이 형사 사건에 휘말린 효성의 사외이사를 맡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그의 사외이사 선임 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두산엔진이 박범훈 전 중앙대 총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한 것을 놓고 중앙대 재단이 두산그룹이란 점에서 부적절 논란이 일고 있다. 일부 사외이사 후보는 최고경영진과 고교 선후배 사이이기도 하다. 롯데그룹은 고병기 전 롯데알미늄 상무 등 임직원 출신 3명을 한꺼번에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권력기관 출신이 사외이사로 이름을 올리는 경우는 더 흔하다. 재벌닷컴이 10대 재벌그룹의 신규 사외이사 선임을 분석한 결과, 전체(68명)의 41.2%인 28명이 청와대나 장ㆍ차관, 국세청 등 권력기관 출신으로 나타났다. 경제민주화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기업 투명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기업이 사외이사를 ‘로비스트’로 활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겹치기ㆍ장수 사외이사 수두룩=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2개 기업에 동시에 이름을 올린 사외이사는 모두 38명이다. 박봉흠 전 기획예산처 장관은 삼성생명과 SK가스에 나란히 사외이사로 활동했으며 올해도 재선임될 예정이다. 송광수 전 검찰총장은 삼성전자와 두산 사외이사로 겹치기 출연했다. 정진호 전 법무부 차관은 한화와 호텔신라에, 노영보 전 서울고법 부장판사는 현대중공업과 LG에서 활동했다. 보통 사외이사의 연봉이 6000만~8000만원 안팎이란 점에서 이들은 1년에 1억2000만~1억6000만원의 소득을 올리는 셈이다.

장수 사외이사도 적지 않다. 고지석 전 한국세무사회 총무이사는 OCI 계열 유니온의 사외이사로 5번 재선임되며 무려 18년을 보냈다. 지난해 출석률 100%에 찬성률 100%다. 정종순 전 KCC 부회장은 2007년부터 KCC의 사외이사로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지난해 사외이사 재임 연수가 7년을 넘은 기업은 34개사 37명에 달한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사외이사의 재임 연수가 7년(금융업은 5년)을 넘으면 사외이사 후보 결격 사유로 규정하고 있다. 오랫동안 한 회사의 사외이사로 있으면 기업의 관점에 함몰돼 칼날이 무뎌지고 독립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