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예전부터 여기 있었던듯…감춰진듯 조용한 그런 미술관 만들고 싶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디자인한 민현준 교수
경복궁 앞에 새로 조성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을 찾는 이들은 “건물이 좀 심심하다”고 입을 모을 듯하다. 파리의 퐁피두센터, 빌바오의 구겐하임미술관처럼 카리스마 있는 건물을 기대했다면 실망이 클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서울관을 디자인한 민현준(45·사진) 홍익대 건축학부 교수는 “개관하면 그런 반응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서울관은 ‘무형의 미술관’을 지향했다. 즉 감춰진 듯 조용한 랜드마크를 목표로 했다”고 했다. 그 까닭은 지역적 특성 때문이다. 바로 건너에 조선 궁궐인 경복궁이 있고, 부지 내엔 등록문화재인 종친부가, 인근엔 북촌 한옥보존마을이 있어 ‘조화’를 고려해야 했던 것. 결국 ‘배경음’ 같은 미술관을 지향한 셈이다.

지난 2010년 무려 118대1의 어마어마한 경쟁률을 뚫고 설계자로 위촉된 민 교수는 “이 자리에 만약 너무나 표정이 강한 ‘튀는 미술관’이 세워졌다면 어떠했겠는가. 경복궁, 한옥마을과 따로 놀았을 게다. 마치 전부터 여기에 있었던 듯, 하모니를 이루길 바랐다”고 밝혔다.

민 교수는 또 건축물보다 ‘마당’이 더 도드라지도록 설계했다. 종친부 건물 앞의 넓다란 마당을 비롯해 모두 6개의 마당을 만들었다. 그는 “마당은 향후 조각들이 들어서면 야외 미술품전시장이 될 수도 있고, 이웃 주민과 서울관을 찾는 관람객들의 휴식처도 될 것”이라며 “마당을 통해 어떤 방향에서든 미술관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즉 서울관은 건물 크기와 높낮이가 제각기 다른 미술관들을 곳곳에 배치시켜 마치 남해 앞바다의 섬들처럼 ‘군도형 미술관’을 지향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서울관은 동선이 따로 없는 게 특징이다. 정문으로 입장해 아트숍으로 빠져나오게끔 동선이 정해진 기존 미술관들과는 달리, 관람객이 미술관 내에 섬처럼 흩어진 8개의 전시실을 마음 내키는 대로 찾아가 체험하도록 하고 있다. 더없이 자유롭고 홀가분한 미술관인 셈이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