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밀봉 · 코드인사…거듭된 실패 국정 발목잡혀
3월 한달간 장차관급 5명 낙마
靑대변인 해외순방중 성추행 의혹
공기관장 선정은 기약도 없어



박근혜 대통령이 시간을 거꾸로 돌려 6개월 전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면 가장 바로잡고 싶은 것은 인사가 아닐까.

박 대통령은 60%대의 국정수행 지지율을 받고 있지만 인사에서만큼은 낙제점을 면치 못하고 있다. 취임식도 치르기 전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를 비롯해 3월 한 달 동안 자신이 내정한 5명의 장·차관급 인사들이 줄줄이 낙마하는 뼈아픈 장면을 지켜봐야 했다. 이 과정에서 ‘수첩인사’ ‘밀봉인사’가 ‘박근혜식 인사’냐는 비아냥거림도 쏟아졌다. 결국 박 대통령은 인사 실패와 관련,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인사를 둘러싼 파문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대통령 해외 순방을 수행 중인 청와대 핵심참모가 불미스러운 성추행 의혹에 연루된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사건이 곧바로 뒤를 이었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는 취임 전 역대 정부와 같은 ‘코드인사’나 ‘측근인사’는 절대 없을 것이라고 장담했지만 인사파문이 거듭되면서 이전보다 더하면 더하지 못하지 않다는 평가만이 남았다.

문제는 지금도 인사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박 대통령은 여름휴가를 마치자마자 청와대 참모진 인사를 전격 단행했지만 불법 대선개입이었던 ‘초원복집’ 사건의 주역인 김기춘 비서실장과 정무 경험이 전무한 박준우 정무수석을 발탁하면서 장외투쟁까지 벌이고 있는 야당으로부터 울고 싶은 데 뺨을 때린 격이라는 반발을 샀다.

이뿐만이 아니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6개월이나 됐지만 공공기관장 인사는 기약조차 없다. 지난 6월 금융지주 인사를 둘러싸고 ‘관치 낙하산’ 논란이 불거진 이후에는 올스톱된 상황이다. 공공기관장 인사가 늦어도 너무 늦어지면서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거듭된 인사 실패로 인사에 트라우마를 갖게 된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