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전방위적 대화공세, 대남·대외 겨냥한 다목적 포석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의 전방위적 대화공세는 대남ㆍ대외관계를 염두에 둔 다목적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3일 개성공단과 관리위원회 관계자 방북을 허용하겠다며 개성공단 실무회담의 물꼬를 연 북한은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3차 당국간 실무회담이 열리던 10일 오후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금강산 관관재개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별도의 실무회담을 갖자고 전격 제의했다.

북한이 지난 2월 3차 핵실험 이후 온갖 기구와 언론매체를 동원해 도발위협 수위를 고조시키고 박근혜 정부와 대화를 할지 고민중이라고 수차례 밝혔다는 점에서 같은 국가가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로 180도 변한 모습이다.

북한의 잇단 대화공세는 형식적으로는 지난달 성사 직전까지 갔다가 무산됐던 남북당국회담을 우회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북한은 남북당국회담이 ‘격’ 논란으로 무산되고 당분간 고위급회담이 재개되기 힘들어진 상황에서 당시 의제로 제시했던 개성공단 정상화, 금강산 관광 재개, 이산가족 카드를 순차적으로 꺼내들고 있다.

내용적으로는 우선 남북관계 주도권을 자신들이 잡고 있다는 점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0일 금강산 관광과 이산가족 상봉 실무회담을 제의하면서 별도의 전통문을 통해 “집중호우로 예성강 지역 수위가 높아졌다”며 “예성강 발전소 수문 하나를 열어 수위를 조절하겠다”고 통보했는데 이 역시 대남 화해제스처로 풀이된다.

북한이 경제적 목적과 맞닿아 있는 개성공단 재가동, 금강산 관광과 함께 남한이 인도적 차원에서 거부하기 힘든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꺼내든 것 역시 남북관계에서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라 할 수 있다.

실제 정부는 북한의 제의 뒤 금강산 관광 회담은 거부했지만 이산가족 상봉 회담은 장소만을 바꿔 수용했다.

일각에선 북한이 다음 수순으로 남북당국회담 의제로 제시했던 민간왕래와 접촉 및 협력사업 추진 확대를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는 천안함 사태 이후 이명박 정부가 취한 대북제재조치인 5·24제재와 맞물려 있는 것으로 단계적으로 5·24제재 무력화에 나설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북한의 대화공세는 3차 핵실험 이후 혈맹이었던 중국조차 냉담한 반응을 보이는 등 국제적인 ‘왕따’에 처한 상황에서 외교고립을 탈피하려는 의도도 내포돼 있다는 분석이다.

한 대북 전문가는 “미국과 중국이 북미 고위급회담과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남북관계를 풀라고 요구하는 상황에서 이에 호응한다는 신호”라며 “대내적으로는 27일 전승절 60주년을 앞두고 분위기를 바꿔보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