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글 정부 감시 프로그램 대중과 정보 공유하자고 요구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세계 최대의 인터넷 기업 구글이 정부의 사용자 개인정보 제공 요청을 분별없이 받아들였다는 비난을 피하고 이용자들의 신뢰를 얻고자 정보제공 요청 건수를 정확하게 공개하자고 정부에 18일(현지시간) 요구했다.

구글은 개인정보 감시 프로그램인 프리즘(PRISM) 프로그램과 연관된 사용자 계정 숫자 등을 대중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개인정보감시법원(FISC)에 청원했다.

이 회사는 개인정보와 관련 ‘직접적인 접근‘을 허용했다는 등 프리즘과 관련한 여러 보도가 대중의 관점을 흐리고 있다고 보고 이를 명확하게 해명하고자 이같은 요청을 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야후는 지난 6개월 동안 정부의 정보공개 요청 건수를 1만3000건 이라고 밝혔으며 페이스북은 9000~1만 건, 마이크로소프트는 6000~7000건, 애플의 경우 4000~5000건의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구글 역시 투명성리포트(transparency report)를 통해 정부의 사용자 정보 요청 건수를 공개하고 있지만 이런 요청 건수는 연방정부 각 기관들이 요청한 전체 숫자이다.

이같은 제한적인 정보제공보단 NSA가 요청한 것 등을 명확히 구분한 자료가 필요하다는 것이 구글의 입장이며 정보제공은 외국인정보감시법(FISA)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구글의 이런 청원은 대중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미국시민자유연대의 정책분석가인 크리스토퍼 소고이안은 트위터를 통해 “구글이 FISA의 금지령에 도전하는 모습에 기쁘고 법적 소송은 지난 2주간의 악성 보도 이후 긍정적인 이미지를 홍보 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방법이다”라고 밝혔다고 CNN머니는 같은날 전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