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한 로켓발사 포기” 국제사회 본격 공조
中·러 반발여론 앞세워 압박
軍, 美와 정찰정보 공유 확대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계획에 대한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다. 한ㆍ미 군당국도 로켓 발사 준비 동향을 정밀 감시하기 위한 정찰자산 확대운용을 시작했다. 유엔 안보리를 통한 대북 제재도 준비단계에 들어갔다.

정부 당국자는 3일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을 포기시키는 것이 정부의 당면 목표”라며 “우리 입장을 명확히 알리는 동시에 주변국과의 공조를 통해 북한에 대한 압박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3일부터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와 연쇄 접촉을 갖는다. 안호영 외교통상부 제1차관은 이날 외교부에서 성 김 주한미국대사와,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중국 일본 러시아 대사와 각각 만난다. 임 본부장은 4일에는 미국을 방문, 국무부 관계자들을 만날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북한과 우호관계인 중국과 러시아에 로켓 발사계획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발 여론을 전달해 간접적으로 북한을 압박할 방침이다.

군도 미국과 함께 위성ㆍ정찰기 등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 정찰자산 확대운용에 나섰다.

군 소식통은 3일 “로켓 발사 때까지 정찰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로켓 동체는 동창리 소재 조립건물로 이동해 조립 및 점검이 이뤄지고 있다”며 “로켓을 발사대에 세우고 원료를 주입하는 데는 1주일 정도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북한이 발사 계획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이후 대책도 준비하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위반에 대한 제재 강화를 통해 추가 도발을 억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로켓 발사를 강행할 경우 금융 제재 등 새로운 내용이 안보리 결의에 포함될 전망이다.

한편 북한은 로켓 발사계획 발표와 함께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1주기(17일)를 기념한 애도기간에 들어갔다. 기간은 이달 1일부터 한 달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거리로켓 발사 예정일도 김정일 사망일(17일)이 포함된 10~22일이다.

홍길용·신대원 기자/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