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유수지 52곳에 공원 등 주민친화공간 조성
[헤럴드경제=황혜진 기자]서울시가 여름철 홍수예방시설로만 이용되는 유수지를 공원, 문화시설 등 주민친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시내 유수지 52곳을 주민 친화공간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은 유수지 활용계획을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유수지는 비가 많이 내릴 때 일시적으로 빗물을 모아 두었다가 하천으로 방류해홍수를 방지하는 시설이다. 서울시내 유수지 52곳의 면적은 182만㎡로 어린이대공원의 약 3배에 이르지만 재활용품 선별장, 청소차량 차고지 등 비선호시설이 입주해있다.

시는 시설이 노후화돼 정비가 필요하거나 시민이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다른 용도로 변경이 필요한 33곳에 대해 2020년까지 2339억원의 예산을 투입, 주민친화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예산은 시비와 구비가 함께 투입된다. 현재 계획은 사업자금을 모두 시와 구비로 조달한다는 계획이지만 자치구별 상황에 따라 민자유치사업으로도 추진할수 있다고 시 관계자는 덧붙였다.

이들 31곳에는 도시공원, 체육공원, 도시광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도시공원은 난지, 성내, 성산, 신도림, 신길, 개봉1, 신구로, 가산1, 구로2, 한남, 전농, 휘경, 새말, 양평1 등 유수지 14곳에 조성된다.

체육공원은 오금, 가산2, 독산, 금호, 잠실, 탄천, 장안, 면목 등 8곳에 들어선다. 도시광장은 신천, 옥수, 용산, 흑석, 마포, 원효, 구로1, 개봉2, 목동 등 9곳에 마련된다.

특히, 시는 내년까지 강서구 가양유수지에 도서관과 공연장을 갖춘 다목적 공공복합시설을 조성한다. 구의 유수지에는 대학생 기숙사를 설치하기 위해 국토해양부와 협의를 마치고 관련 법을 개정 중이다.

시는 현재 시설정비가 잘 돼 있거나 향후 주변 개발계획 등과 연계가 필요한 19곳의 경우 여건을 고려하면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기존 유수지에 설치된 주차장 등 상업시설 복개구조물을 점진적으로 최소화해 공원, 주민편의복합시설 등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민원 요소인 유수지 하천수질오염을 막고 악취도 개선한다. 시는 유수지를 통한 하천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2020년까지 가양유수지 등 8곳에 32만t 규모의 저류조를 설치한다.

악취문제 개선을 위해 유수지별로 유입 수문, 방지 덮개, 차단 커튼 등 악취저감 시설을 설치한다.

권기욱 시 물관리정책관은 “유수지의 공간활용도를 높여 기피시설이라는 인식을바꾸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