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금의 추락
달러강세로 가격하락
美·獨국채에도 밀려 안전자산 명성 퇴색


추락하는 금값에 날개는 없는 것일까.

경제위기 때마다 빛을 발하던 금이 최근 유럽 재정위기에 안전자산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금값은 지난해 온스당 2000달러에 육박했고, 금 관련 상품의 수익률도 고공행진을 펼쳤다.

금을 미처 못 산 투자자의 탄식이 여기저기서 들렸고,뒤늦게 금 매입에 나선 한국은행의 방침을 두고 갑론을박이 오갈 정도로 금은 ‘빛나는’ 이슈였다.
그러나 올 들어서는 상황이 전혀 다르다. 지난 29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이전 거래일보다 20.20달러(1.3%) 떨어진 온스당 1551.00달러를 기록했다. 이달 들어 무려 7%나 하락했다. 30일 1%가량 반등에 성공했지만 상승추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기는 힘든 상황이다. 

 

경제위기는 안전자산 선호로 이어지고, 이는 전통적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금에 호재라는 것이 일반상식이다.

그러나 유럽 재정위기는 달러 강세라는 변수를 가져왔고, 이는 금값 하락으로 이어졌다.

미국과 독일 국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안전자산의 선호도에서 금이 확연히 밀린 것이다.

공급은 늘지만 수요가 부진한 것도 금값 하락을 부추긴다. 세계금위원회(WGC)는 올해 1분기 세계 금 수요는 5% 줄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3억달러 상당의 자산을 운용하는 투자회사인 애서튼 레인 어드바이저스는 고객의 포트폴리오에서 금 비중을 10%에서 5%로 줄였다.

유럽 위기가 확산되면 달러화 강세가 지속돼 금값은 더욱 하락할 수 있어 금을 가진 이도 서둘러 내다파는 양상이다.

이제 관심은 금이 과연 어디까지 하락할 것이냐다. 현재 금값은 불확실한 유럽 상황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금 가격 추이 역시 내다보기 쉽지 않다. 다만 현 시점에서 금의 몰락을 얘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것이 지배적인 분석이다.

미국의 양적완화 등 경기부양책이 시행되면 시장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금값이 다시 오를 수 있다. 경기가 회복되는 경우에도 소재 가격이 상승하게 마련이므로 금 등 귀금속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각국 중앙은행이 올 들어 꾸준히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는 것도 금 가격에는 긍정적인 요인이다.

“전성기는 지났지만 여전히 자기 몫을 하는 박찬호 선수처럼 앞으로도 금은 충분히 제 몫을 할 것”이라는 게 아직은 전문가의 대체적인 컨센서스다.

<오연주 기자>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