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바다위 공장’ 서 새 國富를 건져올린다
정부‘ 해양플랜트산업’ 대대적 육성
수주액 257억弗 → 800억弗…2020년까지 3배 확대

해양플랜트 클러스터 지정
기자재 전략품목 100개 선정
해외 선진기관과 기술제휴도




정부가 ‘바다 위 공장’이라 불리는 해양플랜트(marine plant)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다.

정부는 해양플랜트 수주액(2011년 기준 257억달러)을 2020년까지 3배(800억달러 정도) 이상 끌어올리고 플랜트 기자재, 엔지니어링, 건조 등의 국내화율도 이때까지 60%(현재 40%)로 높이기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9일 부산 한국해양대학교에서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을 보고했다.

지경부가 발표한 청사진은 ▷산업생태계 인프라 조성 ▷국산기자재 경쟁력 확대 ▷해양플랜트 종합역량 강화 ▷전문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등 네 가지다.

인프라 조성책은 울산(건조), 부산(기자재), 경남(시험인증), 전남(지원선), 대전(연구), 서울(엔지니어링) 등 지역별로 특화된 분업사슬을 완성하고 특히 산업ㆍ연구기관이 집중된 지역을 ‘해양플랜트 클러스터(clusterㆍ집적단지)’로 지정해 추진키로 했다.

국내 기자재 활성화와 관련해선 지난 2월 발표한 해외진출 지원책(국내 공급 해외가스사에 국내 기자재업체 등록)을 발전시켜 요소 및 핵심 기자재 전략품목 100개를 선정, 대기업ㆍ중소기업 간 패키지형 모듈개발을 진행하고 지난 3월 구축된 기자재 시험인증센터(거제 소재) 등을 중심으로 기자재 시험인증 기반을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올 7월부터 본격 시작되는 관련 기술개발과제(심해자원 생산용 엔지니어링 및 기자재 시스템)를 통해 해저ㆍ해상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핵심 원천기술에 대해선 외국 선진기관과의 기술제휴나 공동기술개발을 통해 확보해나갈 방침이다.

해양플랜트가 바다 위에서 자원발굴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해양플랜트 국산화율을 대폭 늘리고 수주액은 2020년까지 800억달러로 늘리기로 했다. [사진제공=지식경제부]

전문 엔지니어링 인력 확보와 관련해선 외국의 전문교육기관을 이용하거나 해외주재 한인전문가를 단기 강사요원으로 활용하는 등을 통해 기존 조선 분야의 엔지니어들의 전환을 유도하기로 했다. 더불어 자원개발 특성화대학에 엔지니어링 부문 대학원을 개설, 해양플랜트 석ㆍ박사 과정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지경부의 이번 방안은 국내 조선사들이 해상플랫폼(바다위 부유체) 건조엔 강하지만 플랜트 기본설계에 필요한 광구가 없다는 지정학적 불리요인 때문에 규모가 더 큰 세계 심해저(深海底) 시장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의 타개책 차원에서 고안됐다.

심해저 시장은 2030년이면 플랫폼 시장의 배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또 중국 등 후발경쟁국이 자국의 광구를 활용, 플랜트 산업을 빠르게 추격해오는 상황도 이번 대책 수립에 자극이 됐다.

지경부는 이번 대책으로 약 10만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번 지원에 소요되는 구체적인 예산은 올 국회 심의 후에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해양플랜트산업이란, 석유ㆍ가스 등 해양 자원을 발굴ㆍ시추ㆍ생산하는 자원개발 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건조ㆍ설치ㆍ공급하는 것을 총칭한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