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우리금융 민영화‘삼수’…예비입찰 흥행몰이 관건
접수마감 7월말 분수령
유효경쟁 성립 안되면 물거품
특혜시비 등 정치리스크 부담


우리금융그룹 민영화를 위한 장기 레이스가 시작됐다. 2010년과 지난 해에 이은 세 번 째 도전이다. 최종 ‘딜 클로징(협상 종료)’까지는 6개월여 걸리지만 우리금융 매각 여부는 사실상 3개월 후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우리금융 주식 매각 공고를 낸 정부는 ‘예비입찰제안서’ 접수 마감 시점인 7월27일을 우리금융 매각 여부가 결정될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지난 해처럼 1개 입찰자만 참여해 유효 경쟁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또 다시 입찰 절차가 무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매각 ‘흥행몰이’= 정부는 잠재 투자자를 위해 우리금융 매각 조건을 최대한 완화했다. 가장 큰 변화는 개정된 상법에 따른 ‘현금상환 합병(교부금 합병)’ 방식이 추가된 것. 합병시 입찰자(합병 법인)가 우리금융 주주(예금보험공사)에게 입찰자의 주식을 주는 대신 일부를 현금, 회사채 등 현물 자산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10조원이나 드는 인수보다 자금 부담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진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공자위 사무국장은 “최소 입찰 규모가 30%(예보 지분 56.97%)임을 감안할 때 합병시 3조원 내외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정치리스크’부담= 정부의 구애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망은 부정적이다. 무엇보다 ‘선수’들이 없다. 따라서 인수보다 합병에 방점을 둔 이번 우리금융 매각 방안이 KB금융을 위한 ‘맞춤형’이라는 게 금융권의 반응이다.

그나마 산은지주와 농협지주가 자금 조달면에서 여유가 있지만 산은금융은 지난해 ‘특혜 시비’가 불거져 입찰 자격을 제한했고, 농협금융은 주식회사가 아니여서 개정된 상법에 적용받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LOI를 냈던 티스톤 등 사모펀드의 참여 가능성도 배제하진 못하지만 ‘들러리’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다.

매각 여건도 우호적이지 않다. 가장 큰 걸림돌은 ‘정권 말기’와 맞물린 정치 리스크다. 금융당국의 입김이 먹혀들지 않는데다 정치적 판단이 가미될 수 있다. 여기에 우리은행과 국민은행 노조가 주축이 된 금융산업노조의 반대 목소리도 부담이다. 합병시 불거져 나올 ‘매가뱅크(거대은행)’ 논란과 독과점 문제도 해소해야 할 과제다.

최진성 기자/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