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귀농·귀촌 역대최고…정책 질적변화 시급
젊은층 능동적 귀농 늘어

농업 외 산업 지원책 필요


귀농ㆍ귀촌이 크게 늘어나면서 관련 정책의 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농촌 인구만 늘리는 단계를 넘어서 안정적인 농촌 산업구조 확립을 위한 정책이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5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ㆍ귀촌한 가구 수는 총 1만503가구로, 전년의 4067가구에 비해 158%가량 급증했다. 이는 역대 최고치다. 두 번째로 많았던 1998년의 6400여가구, 1999년의 4000여가구보다 배 가까이 늘었다. 1990년대 후반의 귀농이 외환위기로 인해 ‘등떠밀린’ 귀농ㆍ귀촌이었다면, 최근의 이동은 은퇴한 베이비부머와 젊은 세대가 주도하는 ‘능동적인’ 귀농이다.

이 같은 현상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귀농 지원책이 한몫했다.

또 2000년대 이후 이어진 결혼이민자의 증가도 중요한 요소다. 2000~10년 농촌으로 유입된 여성 결혼이민자만 6만3631명(통계청)에 달한다. 농촌에 유입되고 있는 귀농인과 이민자가 지역사회의 활력 제고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인구의 증가 추세에 맞게 정책방향을 손질하고 정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삼성경제연구원은 최근 내놓은 ‘농촌 인구 구성의 새로운 변화’에서 조만간 농촌에 사는 제조업 종사자의 숫자가 농림어업 종사자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했다. 시골에 살지만 농사는 짓지 않는 인구가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자체의 대응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조언도 많다.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다양한 세대의 이주로 인해 미래 농촌사회에서는 기존의 농업 진흥, 고령화 대책 중심에서 탈피한 복합적 행정서비스의 요구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귀농ㆍ귀촌 인력의 현지 적응과 다문화 청년의 군입대, 혼인 등의 문제도 향후 이슈가 될 수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농촌으로의) 갑작스러운 인구 이동량 증가로 부정적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귀농ㆍ귀촌을 양적인 측면에서 촉진하는 것에만 머물러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홍승완 기자>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